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물류/항공

이스타항공조종사노조 "제주항공·이상직 일가, 정리해고 중단하라"

-박이삼 이스타항공조종사 노조위원장 "조속히 체불임금 해결·비행운영 재개해야"

 

-이스타항공, 제주항공과 M&A 한다지만…내달까지 3개월간 전 노선 '셧다운'

 

21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이스타항공 노동자 결의대회가 진행되고 있다./사진=김수지 기자

"정리해고 중단하라! 항공운항 재개하라! 체불 임금 지급하라!"

 

21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는 이스타항공의 노동자 결의대회가 열렸다. 이날 박이삼 이스타항공 조종사 노조위원장은 "제주항공은 정부의 지원축소를 빌미로 자기들이 체불임금을 떠맡지 않겠다며 주식매매계약서에 반하는 요구를 하고 있다. 생계를 걱정하는 노동자들의 고통은 안중에도 없는 것"이라며 "제주항공 측의 요구를 받은 이스타항공 사측은 인원조정 문제 때문에 고용유지지원금은 신청조차 하지 않았다. 현재 국내선 운항이 가능함에도 운항 중단을 지속해 회사 사정은 더 어렵게 악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스타항공은 지난 3월 24일 국적 항공사 중 처음으로 국내선 운항까지 접으면서 전 노선 셧다운에 돌입한 바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국내외 하늘길이 막히면서다. 그러나 코로나19의 국내 확진자 수가 감소세를 보이며 다른 항공사들이 국내선 운항 재개에 나섰지만, 이스타항공은 지난 20일 외려 모든 노선의 운항을 내달 25일까지 중단한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이스타항공은 지난달 희망퇴직을 신청받아 60여명을 내보내고, 여전히 인력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다.

 

박이삼 노조위원장은 "제주항공은 해외 노선 결합 심사를 핑계로 인수를 지연하고 있지만, 이는 사실 매각대금을 낮추려는 의도임이 드러났다. 제주항공이 회사 상황을 더 악화시킨 후 인수를 포기해, 이스타항공이 결국 파산한다면 이는 이스타항공 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행위"라며 "정부도 이스타항공 노동자들을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 이스타항공은 지금까지 정부의 어떤 지원금에서도 배제됐다"고 밝혔다.

 

그는 "만약 정부가 이번 40조원 기간산업안정기금에서 터무니 없는 잣대를 들이대며 배제한다면 이스타항공 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내몰았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정부는 이스타항공에 대한 지원을 우선적으로 실시하고, 노동자들의 임금체불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 또한 코로나19를 빌미로 발생한 기업의 매각 인수과정에서 벌어지는 부당 노동행위를 철저하게 감시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아울러 박 노조위원장은 "우리는 다시 날고 싶다. 타 항공사는 국내선 운항으로 일부 적자를 줄이고 있다. 하지만 이스타항공의 적자폭은 하루하루 증가해 제주항공 자신들이 결정하고도 감당하지 못하는 지경까지 왔다"며 "정리해고를 위한 비행중단이 아니고서야 적자폭을 줄여야 되는 상황에서 전면 운항중단은 이해가 되지 않는 조치였다. 조속히 체불임금 해결과 비행운영 재개를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