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공연장 나타난 3D 슈퍼주니어…SKT-SM엔터의 언택트 공연

공연 중에 무대 뒷편에서 슈퍼주니어 최시원씨 3D 혼합현실 이미지가 공연장을 채우고 있다. / SK텔레콤

SK텔레콤이 SM엔터테인먼트와 손잡고 슈퍼주니어 온라인 콘서트에서 3D 혼합현실 공연을 선보여 눈길을 끌고 있다.

 

1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콘서트에서 선보인 공연은 지난 4월 말부터 가동한 혼합현실 제작소 '점프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콘텐츠를 온라인 라이브 공연에 적용한 첫 사례다.

 

SM엔터테인먼트가 선보인 온라인 전용 유료 콘서트 '비욘드 라이브'는 동방신기, 슈퍼엠 등 인기 그룹이 참여한 바 있다. 슈퍼주니어는 지난달 31일 오후 3시부터 130분간 히트곡 무대를 연달아 펼쳤다. 전 세계 온라인 관객 수는 12만3000여명에 달한다.

 

SK텔레콤은 점프스튜디오에서 슈퍼주니어 최시원씨를 106대의 카메라로 한시간 동안 촬영 후 단 하루만에 3D 혼합현실 콘텐츠를 완성했다. 점프스튜디오의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기술을 활용해 12m 크기의 고해상도 혼합현실 이미지를 공연장과 어우러지도록 제작했다.

 

점프 스튜디오는 인공지능(AI), 클라우드, 3D 프로세싱, 렌더링 기술로 기존 3D 모델링 작업의 수작업 공정을 상당 부분 자동화해 콘텐츠 제작 비용과 기간을 줄였다.

 

점프스튜디오는 106대의 카메라를 통해 360도로 초당 최대 60프레임 촬영 후 고용량의 영상 데이터를 모바일 스트리밍이 가능한 용량으로 자동 압축해 제공하며, 기존 미디어 제작 시스템과 호환성이 높은 비디오 포맷을 지원한다.

 

한번 촬영한 3D 혼합현실 콘텐츠를 자유롭게 확대·축소·복제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촬영 장비를 동원하지 않아도 실내 스튜디오에서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어 경제적이라는 평을 내렸다.

 

SK텔레콤은 앞으로도 엔터테인먼트, 광고, 게임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간 거래(B2B) 고객을 대상으로 혼합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5G 이용자의 실감미디어 경험도 확대할 계획이다.

 

SK텔레콤 전진수 5GX서비스사업본부장은 "언택트 시대를 맞아 혼합현실 기술을 필요로 하는 분야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며 "혼합현실 콘텐츠가 공연, 영화, 드라마 등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