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신태운 원장의 치아건강]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신태운 믿을신치과 원장.

외상이나 사고, 노화로 인해 치아가 상실된 경우 치료 시기를 놓치면 저작 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물론 얼굴형이 변형되거나 심미성이 떨어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초래한다.

 

치과 치료는 조기 치료가 가장 중요한데, 치아를 상실했을 때 심미적으로나 기능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찾는다면 임플란트 치료를 들 수 있다. 지금처럼 임플란트가 대중화되기 이전에는 소실된 치아를 대체하기 위해 '브릿지'나 '틀니'와 같은 보철치료를 시행해야 했는데, 최근 임플란트 치료가 보편화되면서 자연치아를 대체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부상했다.

 

이처럼 임플란트 수요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부작용 사례도 함께 늘고 있어 소비자들의 경제적·육체적·정신적 부담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임플란트 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교합이상 ▲감각이상 ▲신경손상 ▲보철물 탈락 ▲임플란트 주위염 등을 꼽을 수 있다. 그중에서도 '임플란트 주위염(peri-implantitis)'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 소비자원 조사결과 시술 환자 10명 중 3명이 이 증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렇다면 임플란트 주위염은 왜 발생하는 것이며,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임플란트 주위염이란 말 그대로 임플란트를 지지하는 잇몸과 잇몸뼈에 염증이 생기는 염증성 질환으로 임플란트 주변에 존재하는 치석이나 치태, 세균 등이 직접적인 주범이다. 초기에는 임플란트 주위 잇몸에만 염증이 국한돼 있어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지만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면 염증이 잇몸뼈까지 흡수돼 더 큰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치료방법도 염증 진행 정도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데 만일 잇몸뼈가 손상돼 어쩔 수 없이 임플란트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임플란트를 제거한 후 잇몸뼈이식술을 시행해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이후 첨단 장비를 통한 정밀진단으로 환자의 잇몸상태와 잇몸 뼈, 각도, 골밀도, 기울기 등을 정확하게 측정한 뒤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예측해 수술해야 완성도가 높아진다.

 

또한 치과 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은 저작능력을 원활하게 하는 데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 치료 후 윗니와 아랫니의 교합이 잘 맞는지, 주변 치아와의 교합이 제대로 이뤄지는지도 꼼꼼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하기 위해선 평소 구강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칫솔질만으로 제거되지 않는 치석 및 치태는 치과 스케일링을 통해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믿을신치과 원장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