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SKT, 5G 기지국 기술 TTA 표준화 주도…생태계 활성화 기대

5G 기지국 인터페이스. / SK텔레콤

개방형 5세대(5G) 이동통신 기지국 표준안 마련으로 5G 기지국 장비 제조에 속도가 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17일 제97차 정보통신표준총회를 열어 22건의 정보통신단체표준(TTA표준)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에서는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분야뿐 아니라 공공안전 및 생활밀착형 표준 분야가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특히 지능형 반도체, 양자암호, 개방형 5G 프런트홀 등 ICT 융합 신산업 핵심 분야에서 TTA표준이 채택됐다.

 

이번에 채택된 개방형 5G 기지국 표준안은 5G 기지국(RAN) 구성 요소인 안테나 장치(RU, Radio Unit)와 분산 기지국 장비(DU)를 연결하는 유선망 '프런트홀' 규격에 관한 것으로, 그 동안 제조사별로 달랐던 규격을 표준화한 것이다.

 

이는 SK텔레콤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처음 제안했고, KT와 LG유플러스 및 국내 제조업체들이 참여해 함께 개발했다.

 

SK텔레콤은 2018년 6월부터 개방형 기지국 구축을 위한 글로벌 5G 통신사 연합체 'O-RAN(Open Radio Access Network) 얼라이언스'에 이사회 멤버로 참여해 개방형 프런트홀 규격을 제정하는데 협력해 왔다.

 

기존에는 대형 통신 장비 제조사별로 프런트홀 규격이 달라 기지국 장비 및 솔루션이 일부 제조사 중심으로 운영됐다. 이번 개방형 표준 규격 제정으로 중소 장비 제조사 누구라도 관련 장비 개발에 쉽게 참여할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은 이번 표준화가 기지국 장비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LTE 보다 더 촘촘한 안테나 장치와 분산국 장비의 구축이 필요한 5G 네트워크에서는 프런트홀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번 표준화로 신규 제조업체들의 참여가 확대돼 향후 네트워크 구축 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SK텔레콤 박종관 5GX기술그룹장은 "이번 표준 제정으로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의 시장 진입 장벽이 매우 낮아졌다"며 "국내 장비 업체들이 국내 시장을 발판 삼아 해외 시장으로도 활발히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날 채택된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시스템 표준은 지진, 화재, 전염병 등 재난정보를 수집해 국민에게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플랫폼부터 데이터 교환까지 다양한 요구사항을 담았다.

 

한편, 의장 보궐선거 결과 신임 표준총회 의장에 홍경표 KT융합기술원 원장이 선출됐다. TTA는 홍 신임 의장은 미래 ICT 융합 분야에서 연구개발을 총괄한 전문가로, TTA 표준총회를 이끌 적임자라고 소개했다.

 

이와 함께 총회에서는 5G 기술의 세계 시장 선도와 5G 이후 대비를 위해 5G·6G 및 미래 이동통신 서비스 표준화를 전담할 이동통신 기술위원회를 신설키로 했다.

 

최영해 TTA 회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민 안전을 위한 생활표준형 표준 제정도 아낌없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