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韓 '스페이스X' 탄생할까…KT SAT "2024년 무궁화위성 6A호 발사"

KT SAT 금산위성센터에서 KT SAT 송경민 사장이 KT SAT의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KT SAT

【금산(충남)=김나인 기자】 18일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금산위성센터'.

 

기술적·사료적 가치를 인정받아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직경 27m의 원형안테나가 지키고 있는 금산위성센터는 1970년 6월 문을 연 이후 올해 개관 50주년을 맞았다.

 

최근 우주산업은 엘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 등 민간 기업이 우주 개발을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에 접어들었다. 지난달 미국 스페이스X가 쏘아올린 첫 민간 유인우주선이 발사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킹하며 민간 우주탐사 시대 개막을 알리는 주인공이 됐다.

 

KT그룹의 위성전문 자회사 KT SAT도 총 5기의 자체 위성을 보유하고 있는 금산위성센터를 기지국 삼아 올해를 기점으로 뉴 스페이스 시대 위성 산업을 이끄는 종합 서비스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발표했다.

 

◆ "무궁화위성 6A호 이르면 2024년 발사"…글로벌 위성 플랫폼 사업자로 도약

 

이날 송경민 KT SAT 대표는 "50년간 위성 발사하고 관제하고 운용하고, 지상국 혁신을 이뤘다"며 "그간 많은 기술 축적했다면 향후 50년은 새 도전과 혁신으로 글로벌 위성 플랫폼 사업자로 도약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이날 비전 선포식에서 KT SAT은 위성 신기술이 집약된 차기 위성 '무궁화위성 6A호'를 이르면 2024년 동경 116도에 발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KT SAT이 2010년 발사한 무궁화위성 6호의 예상 수명은 15년으로, 2025년 수명 종료 예정이다. 무궁화위성 6A호는 무궁화위성 6호의 승계 위성이다. 무궁화위성 6A호는 기존 위성을 대체하고, 위성 5세대(5G)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의 키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KT SAT은 데이터 전송 처리량이 기존 대비 10배 이상 많은 '대용량 위성(High Throughput Satellite, HTS)'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발사 후에도 커버리지 변경이 가능한 '가변빔' 기술 탑재도 고려하고 있다. 가변빔 기술을 통해 기존 아라비아 반도 커버리지뿐 아니라 동남아 지역 적용도 고민하고 있다.

 

이를 통해 5G로 인한 급격한 트래픽 증가를 수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지상망이 발달되지 않은 곳에서도 위성을 통해 백홀을 구축해 5G를 쉽게 도입할 수 있다.

 

KT SAT은 올해 무궁화위성 6A호의 탑재체와 적용 기술을 확정하고, 내년 상반기 사업자 선정 및 계약을 완료한 후 무궁화위성 6A호 위성제작을 시작할 계획이다.

 

KT SAT은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한국형정밀 GPS 위치보정 시스템(Korea Augmentation Satellite System, KASS)' 사업에 참여 중이다. KASS가 구축되면 현재 30m 수준인 GPS 오차는 1m 수준으로 줄어들어 항공기 이착륙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이 무궁화위성 6A에 적용되면, 이르면 2024년께 위성이 발사될 것으로 전망된다.

 

◆초연결시대 위성은 필수…끊김없는 5G 서비스 제공

 

앞으로 다가오는 초연결시대에는 지상망 구축이 어려운 해외 지역이나 이동체에서도 끊김없는 서비스가 적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상망만을 이용해서는 모든 커버리지를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KT SAT은 지역 구분 없는 통신 환경 제공을 위해 위성과 5G 연동 기술도 연구하고 있다.

 

김해동 미래기술연구소 박사는 "모든 사물을 연결하는 초연결시대에 오지산간이나 바다 등은 지상망을 통해서는 한계가 있다"며 "초소형 위성 등을 활용해 과거에 생각치 못한 빅데이터를 얻고 새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KT SAT은 지난해 11월 KT 융합기술원과 함께 세계 최초 5G 상용망과 위성 통신망 연동 기술에 성공했다. 지난 15일에는 KT 융합기술원과 위성 환경 기반의 테스트베드를 KT SAT 금산위성센터에 구축했다.

 

KT SAT은 하반기부터 금산위성센터 테스트베드에서 '한-EU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위성과 5G 단말기를 연동하는 과제를 수행하고, 내년 5월 프랑스오픈 테니스 행사에서 위성5G를 통한 영상 송출을 시연할 계획이다.

 

KT SAT이 연구중인 위성과 5G 연동 기술이 상용화되면 망의 대역폭이 확대된다. 지상망 구축이 어려운 해외 지역과 차량 등 이동체에서도 위성을 통해 끊김없는 5G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

 

◆통신 사각지대도 연결…플랫폼 사업자 도약 노리는 KT SAT

 

KT SAT은 통신 사각지대인 해양·우주까지 연결 가능한 위성 네트워크를 통해 플랫폼 사업자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이다.

 

KT SAT은 MVSAT(해양 위성통신) 시장에서 연평균 20% 성장하며 국내 상선 시장의 70% 이상 시장 점유율을 확보했다. 이를 기반으로 '해양 통합 플랫폼'을 내년 상반기에 출시할 계획이다.

 

송경민 대표는 "어떤 솔루션도 적용할 수 있고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해양 통합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위성의 특성을 활용해 유선 통신이 어려운 해외 국가들에 진출하고 있다. 특히 섬 지역이 많은 필리핀, 인도네시아, 인도차이나 국가에 방송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T SAT은 '무궁화6A호' 발사 후 아시아 톱5 위성 사업자를 목표로 중동, 몽골, 아라비아해까지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설 방침이다. 이를 통해 전체 매출의 12%인 해외 매출을 30%까지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송경민 대표는 "뉴 스페이스 시대의 도래로 끊김 없는 네트워크 제공을 위한 위성 통신의 중요성이 커질 것"이라며 "플랫폼 위성 사업자로의 전환과 정부의 우주 프로젝트 적극 참여를 통해 앞으로의 50년 위성 산업을 견인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