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공간' 개념 접목한 랜선 없는 와이파이…KT, 인터넷 1000만 시대 연다

image
KT 5G/GiGA사업본부장 이성환 상무가 22일 광화문 KT스퀘어에서 와이파이 서비스 기가 와이(GiGA Wi)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KT 

초고속인터넷 상용화 22년 만에 가입자 900만명을 달성한 KT가 '랜선'을 없앤 '기가와이' 서비스를 출시하며, 언택트 시대에 발맞춘다. 인터넷 이용 패턴이 달라지는 것에 맞춰 시장을 세분화 해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찾겠다는 복안이다.

 

KT 5G·기가사업본부장 이성환 상무는 22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스퀘어에서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2022년까지 전체 인터넷 신규 가입자 중 기가와이 비중을 50%로 확대하고 누적 가입자 100만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랜선 없앤 와이파이, 집 안 어디든 끊김없이…"2022년까지 가입자 50%까지 확대할 것"

 

KT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는 초기 모뎀 서비스 이후 1997년 ISDN, ADSL, VDSL에 이어 2014년 기가 인터넷, 2018년 10기가 인터넷으로 발전을 이어왔다.

 

올해 6주년을 맞은 기가 인터넷 가입자는 KT 전체 인터넷 가입자 900만명 가운데 62%를 넘어섰다. KT가 제공하는 인터넷 인프라 중 기가 커버리지는 올해 기준 99.7%이다. 시장 점유율도 41%로, 현재 1위를 기록하고 있다.

 

KT는 오는 23일 선보이는 인터넷 서비스 '기가와이(GiGA Wi, GiGA Wide WiFi)'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발맞춰 집 안 어디서든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기가와이 3종은 무선속도에 '공간' 개념을 접목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 기가 와이파이 프리미엄에 새로 출시한 기가 와이파이 버디를 묶어 무선인 두 대의 와이파이로 자동 연결된다. 이지매시 기술을 접목해 위치에 따라 최적의 와이파이를 연결하는 식이다.

 

속도는 최대 867메가비피에스(Mbps)다. 버디는 집 안 어디에나 설치할 수 있고 와이파이 연결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집 안 구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0평대 집 안에서는 끊김없이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KT측의 설명이다.

 

'기가 와이 인터넷 최대 1G' 월정액은 결합상품 3년 약정 기준 3만5200원(이하 부가세 포함)이다. KT는 출시를 기념해 오는 8월 31일까지 1100원 할인된 3만4100원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KT는 오는 20202년까지 기가 와이 인터넷 신규 가입 비중을 50%까지 확대해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1000만 시대를 열겠다는 목표다.

image
KT 기가와이. / KT 

◆초고속인터넷 시장 포화?…"맞춤형 서비스로 도약"

 

KT가 랜선을 없앤 와이파이를 선보인 이유는 단말의 변화 때문이다. 집에서도 고정형 PC 단말에서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었기 때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인터넷 이용 실태 조사 결과, 유선 기반의 데스크톱 보유율은 2010년 81.4%에서 2019년 52.2%로 감소한 반면, 무선 디바이스 보유율은 4.9%에서 94.9%로 19배 이상 늘었다. 태블릿PC 등 접속 디바이스 수는 2017년 2.4대에서 2022년 3.6대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1인 가구와 소상공인 이용자를 위한 특화 서비스도 선보였다. 기가 와이 싱글TV는 인터넷과 IPTV 상품을 더해 기존 대비 최대 19% 가격을 낮췄다. 소상공인 서비스 또한 기존 패키지 대비 16% 할인된 가격에 제공해 영상 보안 서비스를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성환 상무는 "다양한 사회 구조로 가정뿐 아니라 일반 소상공인들도 보안 서비스가 필수가 되며 인터넷 회선 수의 유지 고객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며 "1인 가구나 소상공인 고객에게 최적화 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