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업체들의 수익성 지표인 정제마진이 수주째 '마이너스'를 이어가고 있어 하반기 실적 반등에도 먹구름이 드리웠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8월 첫째 주 싱가포르 복합 정제마진은 배럴당 -0.3달러를 기록했다. 7월 3주 -0.5달러, 7월 4주 -0.3달러, 그리고 지난주 -0.1달러에 이어 4주 연속 마이너스 행진이다.
정제마진은 휘발유와 경유 등 석유제품 가격에서 원유 가격과 수송·운영 등 비용을 뺀 것으로, 업계에서는 배럴당 4∼5달러를 손익분기점으로 본다. 지난해 10월 셋째 주(2.8달러) 이후부터 손익분기점에 미친 경우가 거의 없어, 정유업체들은 10개월째 밑지는 장사를 하고 있는 셈이다.
정제마진 약세가 장기화하며 정유업계는 실적에 직격탄을 맞고 있다. 특히 올해 상반기는 정제마진 약세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 수요 약세, 올초 유가급락 등 복합 악재를 맞으며 사상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다.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 에쓰오일 등 정유 4사의 1분기 합산 적자는 사상 최대인 4조3775억원이었다. 지난해 합산 영업이익(3조원)보다 많은 손실을 1분기만에 본 것이다.
2분기에는 국제유가 안정세와 코로나19 개선으로 합산 적자 규모는 7000억원으로 1분기보다 약 80% 줄었다. 현대오일뱅크의 경우 다시 흑자전환에 성공하기도 했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은 장기화하고 있고, 국제유가도 올 초 급락 이후 5월부터 안정을 되찾은 이후 별 변화가 없어 하반기 실적 반등은 정제마진 회복에 달려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정제마진 약세 국면이 길어져, 3분기 실적 반등도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대체적이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정제마진 약세의 주 원인인 중국의 수요감소·공급과잉 상황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며 "당초 코로나19로 인한 경제활동 제한이 완화되며 3분기부터 반등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나 현재는 예측이 어렵다"고 말했다.
정제마진 약세와 코로나19발 수요 약세, 저유가 등이 정유업계를 덮쳐 실적이 언제든 더 나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끊이지 않는다.
SK증권 손지우 연구원은 "정유사 실적부진의 가장 큰 원인인 정제마진 약세가 개선되지 않고 있고 그나마 실적 상승을 견인한 유가도 상승세를 멈췄다"며 "거시경제 악화 탓에 정제마진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기 어려워 3분기 실적은 2분기보다 악화할 여지가 더 높다"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