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방/외교

한국전쟁 전사자 신원확인, 70년 만에 돌아온 두 호국영웅들

국방부가 12일 신원확인을 밝힌 한국전쟁 전사자는 왼쪽부터 고(故) 배석래 이등중사(화살머리고지 전사)와 고(故) 김학제 일병(장진호 전사)이다. 사진=국방부

한국전쟁(6.25) 당시 조국을 구해낸 영웅들이 자신의 이름을 찾고 70년 만에 가족의 품에 안기게 된다.

 

국방부는 12일 비무장지대(DMZ) 내 화살머리고지에서 발굴된 유해 1구와, 지난 6월 미국에서 봉환된 국군 전사자 유해 1구의 신원이 배석래 이등중사와 김학제 일병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고(故) 배석래 이등중사는 2사단 31연대 소속으로, 정전협정 체결(1953년 7월 27일)을 2주 정도 앞둔 7월 11일 화살머리고지 4차 전투에서 전사했다. 이 전투는 철원 북방의 백마고지와 화살머리고지를 확보하고 있던 국군 제2사단이 중공군 제23군 예하 제73사단의 공격을 격퇴하기 위해 벌인 전투다.

 

고인의 유해는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이뤄진 'DMZ 내 전사자 유해발굴'을 통해 찾을 수 있었다. 그의 유해는 탄약, 대검, 인식표, 전투화 등 다수의 유품과 함께 발견됐다.

 

또 다른 영웅은 미7사단 31연대 카투사(주한미군 한국군지원단)소속의 고 김학재 일병이다. 김 일병은 1950년 미군과 중공군의 격전이 벌어진 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했다.고인의 유해는 멀리 하와이에 있는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에 안치돼 있다, 올해 한국전쟁 추념행사 때 대한민국으로 모셔졌다.

 

국방부는 유가족들과 협의를 거쳐 고인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리는 '호국영웅 귀환행사'와 '안장식'을 거행할 예정이다. 두 영웅들의 신원확인이 가능했던 결정적인 힘은 '유가족의 유전자'였다.

 

현재까지 발굴된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 중 신원이 확인된 전사자는 151명 뿐이다. 수습되지 않은 유해를 포함해 13만여구의 유해는 이름도 가족도 밝혀지지 않았다. 유가족들의 유전자 사료 채취 동참이 절실한 상황이다.

 

국방부는 '당신도 유가족일 수 있습니다'라는 캠페인과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비접촉 참여가능 플랫폼' 구축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국방부 유해발굴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박태규 병영정책과장은 "우리의 호국영웅들을 가족의 품으로 모시기 위해서는 유해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유가족의 유전자 시료 채취와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며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