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유통 규제 이대로 괜찮은가](중) 프로크루테스 침대에 갇힌 유통업계 "패션·뷰티 어쩌나"

최근 이동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유통법에 백화점에 대한 규제가 포함됐다. 이에 백화점을 주력 매출 창구로 삼고 있는 패션·뷰티업체는 반발에 나섰다./현대백화점그룹

대형마트의 의무 휴업은 마치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를 연상시킨다. 정책을 시장에 맞추는 것이 아닌, 시장을 정책에 맞추도록 강요한다. 정책이라는 침대보다 작거나 클 경우 규제로 가차 없이 몰아붙인다. 수위는 갈수록 높아졌고, 이젠 복합쇼핑몰과 백화점을 의무휴업 대상에 포함시키는 법안까지 국회에 발의됐다.

 

유통업계가 '오프라인VS온라인' 경쟁으로 변화한 환경에서, 여전히 대형 채널을 전통시장의 적으로 돌리는 시대착오적 발상으로 국내 유통산업은 공생이 아닌 공멸로 갈 위기에 빠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백화점을 주력 매출 창구로 삼고 있는 패션·뷰티업체는 극심한 불안감을 보인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패션산업협회(이하 패션협회)는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한국섬유수출입협회와 힘을 합쳐 업체 서명을 받아 국회 및 관련 기관에 유통법 개정안을 재검토할 것을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300여개의 회원사를 대상으로 이번주 2차 반대성명을 받고 조만간 국회에 의견을 전달할 계획이다.

 

패션협회는 이동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28인이 발의한 유통산업발전법 일부개정법률안 가운데 '복합쇼핑몰 대상 공휴일 중 월 2회 의무 휴일' 규제는 패션업계의 생존권을 위협한다고 지적한다. 만약 이번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패션업체들의 비효율 점포 축소, 온라인 브랜드 전환을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업계는 관측하고 있다.

 

패션협회에 따르면 패션업계 종사자 중 10인 미만의 중소상공인 비율은 90%에 달한다. 또 연간 76조원에 달하는 패션 소매시장은 섬유 소재와 제조, 유통, 물류 등 연관산업을 이끌고 있어 패션산업 침체는 여타 산업의 연쇄 침체를 유발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입점한 영세 자영업자와 중소기업까지 직격탄을 받을 뿐만아니라, 매장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실업자로 전락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패션협회에 따르면 패션업계 종사자 중 10인 미만의 중소상공인 비율은 90%에 달한다. 

 

실제로 코로나19 여파에 패션업계는 악화일로의 길을 걷고있다. 대형브랜드도 타격을 피하지 못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지난 2분기 영업이익 10억원을 기록하며, 1년전보다 90% 줄어든 성적표를 받았다. 상반기 총 매출은 7340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6% 줄었고, 영업손실만 300억원에 달한다.삼성물산 패션부문은 내년 2월까지 빈폴액세서리를 온라인 브랜드로 전환할 계획이다. SPA브랜드인 유니클로는 반일운동 여파에 코로나까지 겹치면서, 올해만 국내 수십여개 매장을 폐점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도 현재 운영 중인 400여 개 매장 가운데 40여 개를 철수한다. 이 외에도 직원을 대상으로 휴직을 시행하고 근무 일수를 조정하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는 이들 2분기 매출이 1년 전보다 10~20% 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성태윤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유통법은 재래·전통시장을 보호할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실효성이 떨어진다. 시장에는 도움이 되지 않고, 유통업계에 타격을 줄뿐더러 소비자 입장에서도 충분한 이득을 거두는 게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백화점 및 대형마트를 대체할 수 있는 채널이 많은 상태에서 영업규제를 하는 방식은 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직접적인 지원을 통한 시장 경쟁력 강화를 고민해봐야 할 때다. 재래·전통 시장도 변화를 통해서 편리하다고 생각해 소비자를 유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