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장, 동원F&B, 한국야쿠르트 등 면역 관련 신제품 연이어 출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2차 대유행으로 면역력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가와 함께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다. 건강기능식품 시장 발전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유통업계에서는 다양한 면역 관련 신제품 출시 및 브랜드 이미지 강화에 나섰다.
2일 이마트에 따르면 이달 13일부터 28일까지 16일간 홍삼이나 유산균 같은 건강세트 매출이 285% 증가했다. 헬스앤뷰티 매장 CJ올리브영에서는 지난달 건강기능식품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40% 늘었다. 이마트의 올해 추석 예약판매 중 건강세트 매출은 지난해보다 3배 가까이 급증했다. 랄라블라 올 상반기 건강기능식품 매출은 46.8% 증가했으며 롯데쇼핑의 롭스 온라인몰의 건강기능식품 매출도 35% 늘었다.
이런 가운데 건강기능식품은 홍삼뿐만 아니라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와 프로폴리스, 밀크씨슬 등으로 점차 다변화되고 있다. 롭스의 비타민 매출이 최근 6개월간 97% 증가했으며, CJ올리브영은 올해 8월까지 유산균 매출이 120% 급증했다. 코로나19에 감염되면 면역력이 취약한 장년층에게 유독 치명적이라는 것이 알려지면서 면역 관련 제품 선호도가 높아진 것이다.
선진국 대비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가 그리 크지 않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향후 시장의 발전 가능성은 여전히 크다. 미국 1인당 건강기능식품 구매액은 134달러이며, 일본은 87달러, 오세아니아는 92달러 수준이지만, 국내의 경우 71달러 수준이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이 가속화되면서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성장세를 더욱 가파르게 만들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의 건강기능식품 개발·제조·판매 등에 관련된 규제 완화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실제로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2015년부터 연평균 11.7% 성장, 지난해는 4조5800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면역력에 관한 관심이 커지면서 향후 5~10% 수준의 안정적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시장조사업체 칸타는 예측했다.
이러한 추세에 유통업계에서는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H&B 브랜드는 건강기능식품 주요 구매 채널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CJ올리브영은 하반기 '건강 새로고침'이라는 콘셉트를 내걸고 건강기능식품 마케팅에 나섰다. 상품 구색을 세분화, 전문화했고 매장 진열 방식도 기능별로 바꿨다. 롭스는 건강기능식품 특화 매장을 따로 만들고, 건강기능식품 관련 교육을 이수한 직원을 배치했다.
식품업계도 면역력 향상에 좋은 제품을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정관장은 지난달 31일 여성의 활기찬 생기를 채우고 몸을 보하는 '정관장 천녹W' 신제품을 출시했다. 동원F&B의 홍삼 전문 브랜드 천지인은 '천지인 홍삼정 백작(白作)'과 '천지인 홍삼정 수작(秀作)' 등 프리미엄 홍삼정 2종을 출시했다. 한국야쿠르트는 '발휘 발효홍삼 진녹원'을 선보였으며, 김정문알로에는 다당체를 풍부하게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장·면역N K알로에'를 출시했다.
일화의 홍삼 전문 브랜드 홍건강은 건강한 매력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개그우먼 김민경을 모델로 전격 발탁하며 브랜드 이미지 굳히기에 나섰다. 김민경은 '맛있는 녀석들'과 '오늘부터 운동뚱'에서 건강하게 운동하고, 맛있게 먹는 모습으로 높은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면세점 이용이 줄면서 감소하면서 브랜드 1분기 매출은 감소했다. 국내 채널 매출은 증가했다"면서 "면역력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특히 이번 추석 명절 선물로 건강기능식품을 찾는 소비자가 늘었다. 코로나19에 마땅한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지푸라기라도 잡으려는 심정이 새로운 소비패턴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