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물류/항공

소액주주 반발에… 아시아나 '균등감자' 부결될까

아시아나항공 항공기.

채권단 관리 체제에 놓인 아시아나항공이 결국 자구책의 일환으로 '균등 무상감자'를 추진하면서, 금호석유화학 등 주주들의 반대가 잇따를 전망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3일 이사회를 열고, 산업은행 등 채권단과 협의해 코로나19로 악화한 결손금을 보전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3 대 1의 비율로 균등 무상감자를 추진하기로 결의했다. 이에 따라 아시아나항공의 총주식 수는 2억2323만5294주에서 감자 후 7441만1764주로 줄고, 자본금도 1조1161억7647만원에서 3720억5882만원이 된다. 감자 기준일은 내달 28일이며, 아시아나항공은 해당 안건을 내달 14일 주주총회에 상정해 표결에 부친다는 계획이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경영정상화를 위한 불가피한 과정이며, 주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심한 끝에 나온 방안이다"라며 차등감자가 아닌 균등감자 추진 이유에 대해 "대주주 지분은 매각결정과 동시에 채권은행에 담보로 제공됐고, 지난해 4월 매각 결정 이후 대주주가 회사경영에 전혀 관여하고 있지 않은 점, 거래종결을 앞둔 M&A가 코로나19로 무산된 점 등을 고려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아시아나항공의 균등 무상감자 추진이 현실화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대 주주인 금호석유화학을 비롯해 소액주주들의 반발이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주주총회에서 해당 안건이 부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대주주에게만 그간 경영의 책임을 묻는 차등감자와 달리, 균등감자는 대주주와 소액주주가 동일한 책임을 지게 되는 방식이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대주주 금호산업뿐 아니라 모든 주주의 주식이 3분의 1로 줄어들게 된다.

 

감자 후 금호산업은 당초 6868만8063주에서 2289만6021주로 줄어든다. 또, 금호석유화학은 2459만3400주에서 819만7800주가 되고, 기타 주주의 경우 1억2994만3831주에서 4331만4610주로 감소한다.

 

다만, 전자공시시스템 다트에 따르면 지난 6월 30일 기준 아시아나항공의 지분 구조는 ▲금호산업 30.77% ▲금호석유화학 11.02% ▲소액주주(1% 미만) 58.20% 등이다. 이에 주총에서 소액주주의 참여율이 높을수록 균등감자 추진 안건이 승인될 가능성은 더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아시아나항공은 균등감자 추진안이 주총에서 승인되더라도, 향후 금호석유화학과 법정 공방을 다툴 여지도 있다. 업계에 따르면 금호석화는 지난 3일 아시아나항공이 이사회에서 균등감자를 의결하기 이전 산업은행에 이 같은 방식의 3 대 1 무상감자를 반대한다는 뜻을 문서로 전달했다. 이에 따라 금호석화는 배임 등 법적 책임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필요한 경우 소송까지 검토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엄경아 신영증권 연구원은 "원래 대주주를 감자시키는 게 맞다. 하지만 현재 아시아나 항공기랑 금호고속 주식이 담보물이어서 그렇게 한 것 같다"며 "자본잠식이 되니 이를 조정하기 위해 (균등감자를) 한 것 같다. 일단 자본을 줄여놓고 추가로 신종 자본이 들어가야 해, 일단 자본잠식에서 벗어나는 것을 최우선으로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