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SKT-도이치텔레콤, '5G 기술 합작회사' 설립 …인빌딩 솔루션 공략

일 오후 SKT 서울 을지로 본사 회의실에서 박정호 사장과 팀 회트게스 도이치텔레콤 회장(화면 첫줄 두번째)이 영상회의를 통해 '5G 기술 합작회사' 설립 최종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SKT

SK텔레콤이 독일 도이치텔레콤과 손잡고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 개발을 위해 합작회사를 설립한다. 이를 통해 한국-독일의 4차 산업혁명 전초기지를 마련하겠다는 복안이다.

 

SK텔레콤은 박정호 사장과 팀 회트게스 도이치텔레콤 회장이 지난 6일 오후 영상 회의를 통해 '5G 기술 합작회사(가칭)' 설립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도이치텔레콤은 전 세계 13개국에서 약 2억4000만명의 가입자를 보유한 이동통신사다.

 

합작회사는 양사가 50 대 50 지분을 가지며, 본사는 독일에 마련된다. 각각이 지명한 공동 대표 2명과 양사의 사업, 기술 전문가로 구성된 주주대표 4명이 경영진으로 참여한다. 관계 기관의 승인을 얻어 연내 정식 설립된다.

 

양사는 합작회사를 통해 5G 인빌딩 솔루션 등 선도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유럽을 시작으로 전 세계 ICT 기업에 기술을 전파할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앱마켓, AR·VR, MEC 등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합작회사가 공략하는 인빌딩 솔루션 시장 규모는 매년 약 10% 성장해 오는 2023년 약 103억3000만달러(약 11조62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업계에서는 전망하고 있다.

 

양사는 이미 한국에서 개발된 '5G·LTE RF 중계기'를 올해 상반기 유럽에 맞게 최적화해 지난 8월부터 10월까지 3개월간 독일 주요 8개 도시에서 실제 고객들을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를 진행했다.

 

합작회사는 시범서비스 결과를 바탕으로 업그레이드된 5G·LTE RF 중계기를 내년 상반기 내 상용화할 예정이다.

 

SKT는 수년 간 준비한 기술자산 약 100건을 합작회사에 제공하고, 이에 따른 로열티를 매출에 비례해 받게 된다. 아울러 합작회사의 성과에 따른 배당을 기대할 수 있다.

 

또 한국 중소장비사와 함께 유럽 등에 동반 진출하고, 한국 5G 기술을 전파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SKT는 RF 중계기 등 핵심 장비를 개발할 때 한국 장비사와 협업해왔다.

 

팀 회트게스 도이치텔레콤 회장은 "합작회사는 중계기 기술로 시작해 훨씬 더 큰 목표를 향해 나아가며, 두 회사 모두에게 중요한 혁신을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정호 SKT 사장은 "펜데믹 상황 속 양사간 국경을 넘는 5G 초협력이 이뤄져 더 큰 의미를 갖는다"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양사가 아시아-유럽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인류에 새로운 가치를 주는 기술, 서비스를 함께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