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게임

넥슨, 모바일 게임 흥행에 분기 최대 실적…글로벌 엔터사로 몸집 키운다

넥슨 3분기 실적발표 요약 표. / 넥슨

넥슨이 '바람의나라: 연', 'V4',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등 모바일 게임의 연이은 흥행과 국내 매출 성장으로 3·4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거뒀다. 이 같은 호실적으로 바탕으로 향후 넥슨은 게임뿐 아니라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회사로 성장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넥슨은 연결 기준으로 올 3·4분기 매출 8873억원(794억엔, 이하 분기 기준환율 100엔당 1117.3원)과 영업이익 3085억원(276억 엔)을 거뒀다고 10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2%, 영업이익은 13% 성장했다.

 

넥슨 CI.

특히 3·4분기 모바일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0%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분기 사상 최대인 3695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3·4분기 전체 매출의 42%를 차지하는 비중이다.

 

3·4분기 넥슨의 모바일게임 호실적은 구글플레이 최고 매출 2위를 기록한 뒤 꾸준히 모바일 게임 매출 최상위권을 유지한 '바람의 나라: 연'이 견인했다. 이 게임은 넥슨이 24년 동안 서비스한 '바람의 나라'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해 출시돼 넥슨의 클래식 IP 파워를 입증했다는 평을 받는다.

 

지난 7월 북미 및 유럽을 포함한 글로벌 150여 개국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V4'도 넥슨의 장기 흥행 IP로 자리잡았다. 아울러 모바일 캐주얼 레이싱 게임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와 '피파 모바일'도 모바일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이 대세인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캐주얼 게임의 성장 가능성을 보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특히 국내 지역에서의 성장세가 눈에 띄었다. 넥슨은 국내에서 3·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14% 성장한 5645억원(505억 엔)을 기록했다. PC 온라인과 모바일 부문은 각각 같은 기간 36%, 452% 성장했다.

 

그 중 '메이플스토리'는 전략적인 콘텐츠를 선보이며 한국 지역에서 전년 동기 대비 71% 성장했고, 이외 북미·유럽 지역과 아시아·남미 지역에서 각각 178%, 165%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던전앤파이터'와 '서든어택' 또한 국내에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6%, 35% 성장률을 기록했다.

 

향후 넥슨은 '커츠펠'과 '코노스바 모바일 판타스틱 데이즈(이하 코노스바 모바일)' 등의 신작들을 통해 경쟁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커츠펠은 셀 애니메이션풍 비주얼의 3인칭 듀얼 액션 배틀 장르 PC 온라인게임으로, 콘텐츠 개발에 매진 중이다. 지난 9일 개발사 썸잽과의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을 발표한 '코노스바'는 일본 라이트 노벨 원작을 바탕으로 개발된 수집형 RPG다.

 

아울러 콘솔과 PC에서 크로스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개발 중인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와 원작의 강점을 살린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역시 서비스를 앞두고 있다.

 

이와 함께 넥슨은 향후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엔터테인먼트 회사로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실제 지난 9일 글로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중 하나인 '틱톡' 최고경영자(CEO)를 역임했던 케빈 메이어 전 틱톡 CEO를 신임 사외이사로 내정하며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시장 진출에 대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메이어 신임 사외이사 내정자는 '월트디즈니' 최고 전략책임자(CSO)를 지내며 굵직한 인수·합병(M&A)을 주도했을 정도로 IT 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이다. 넥슨은 지난 6월 15억달러(약 1조6800억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한편, 이날 넥슨은 주주환원 정책의 일환으로 11일부터 오는 2023년 11월 10일까지 3년간 최대 1000억엔(약 1조623억원)의 자사주 매입을 진행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넥슨은 공시를 통해 "신중한 검토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주주환원을 실시하겠다"며 "주식매입금 집행은 넥슨 이사회에서 별도로 의결한다"고 설명했다.

 

넥슨(일본법인) 오웬 마호니 대표는 "넥슨의 강력한 IP 파워가 PC·모바일 플랫폼 양쪽에서 저력을 발휘하며 3·4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며 "4·4분기에도 선택과 집중의 개발 기조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멀티플랫폼 게임사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