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박정호 SKT사장, 부회장 승진…중간지주사 전환 속도내나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SK텔레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하고 SK텔레콤과 함께 SK하이닉스를 함께 이끈다. 이로 인해 SK텔레콤이 통신 회사 영역을 넘어 '빅테크' 기업으로 진화하는 체질 개선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SK텔레콤의 중간지주사 전환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현재 SK그룹의 지배구조는 오너일가→SK㈜→SK텔레콤→SK하이닉스로 이어지는데, SK텔레콤이 중간지주사가 되면 SK하이닉스의 지위는 자회사로 바뀐다. 이에 따라 그간 그룹 차원의 공격적인 투자, 인수합병(M&A) 등을 가로막았던 족쇄도 풀리게 된다.

 

SK그룹은 3일 2021년 임원인사와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이번 인사로 인해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하면서 SK하이닉스의 부회장직을 겸하게 됐다. ICT 전문가인 박정호 신임 부회장과 인텔 출신의 반도체 전문가인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의 시너지가 주목된다.

 

실제 지난달 SK텔레콤은 데이터센터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AI 반도체 '사피온 X220'을 공개하며, 미래 반도체 시장 진출에 나섰다. 이를 통해 엔비디아, 인텔,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 중심의 미래 반도체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는데 의의가 있다. 메모리 관련 기술 부문에서는 이미 SK하이닉스와 협력하고 있어 향후 시너지 효과에 대한 기대도 크다.

 

'전략형 참모'인 박정호 신임 부회장은 1963년생으로, 1989년 선경 입사 이후 SK텔레콤 사업개발부문장(부사장)을 거쳐 SK C&C 대표이사 사장,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 겸 SK하이닉스 이사회 의장 등을 역임했다.

 

그룹 내 대표적인 인수·합병(M&A) 전문가이기도 한 박정호 신임 부회장은 SK텔레콤 대표로 재임 기간 동안에도 대형 M&A 등을 통해 SK텔레콤을 '뉴 ICT'으로 변모시켰다는 평을 받는다. 현재 SK텔레콤은 '통신'에서 벗어난 사명 변경도 추진하고 있다.

 

박 신임 부회장은 도시바 메모리사업부 인수, ADT캡스 인수, 우버와의 합작사 설립, 아마존의 11번가 투자 등을 이끌어 낸 바 있다. 지난해에는 SK브로드밴드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옥수수'와 지상파 3사의 '푹'의 합병을 성사시켜 '콘텐츠웨이브'를 출범하고, SK브로드밴드와 티브로드의 합병도 추진했다.

 

아울러 오는 29일에는 모빌리티 사업단을 분할시켜 신규 법인 '티맵모빌리티'도 설립한다. SK텔레콤은 모빌리티 사업을 ▲이동통신 ▲미디어 ▲보안 ▲커머스에 이어 5번째 핵심 사업으로 꼽고 있다.

 

SK텔레콤은 '원스토어'를 시작으로 SK브로드밴드, AD캡스, 11번가 등 자회사를 순차적으로 기업공개(IPO)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의 중간지주사 전환이 가속화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SK텔레콤은 지주사와 사업 자회사를 거느린 중간지주사 전환을 검토해왔다.

 

이번 인사로 박정호 사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하면서 SK하이닉스 경영도 총괄하게 돼 SK그룹의 중간지주사 구축 작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을 통신사업회사와 지주회사로 분할하고, 지주회사가 SK그룹 ICT 계열사를 아우른다는 밑그림이다.

 

자회사들의 IPO나 5대 핵심사업부 체제 역시 중간지주사 전환을 위한 포석인 것으로 풀이된다. 중간지주사 전환이 되면, 공정거래법상 손자회사 규정서 벗어나 더 공격적인 M&A나 투자가 가능해진다.

 

향후 박정호 신임 부회장의 과제로는 당장 SK하아닉스 지분 확보부터 자회사 IPO 마무리, 성공적인 사명변경 등이 꼽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