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5G 속도-SKT·커버리지-LGU+·다중시설-KT 1위…LTE는 느려져

홍진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정책관이 30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파이낸스센터 과기정통부 기자실에서 '2020년도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과 6대 광역시를 포함한 전국 85개 시에서 SK텔레콤의 5세대(5G) 이동통신 다운로드 속도가 이동통신 3사 중 가장 빠른 것으로 집계됐다. KT는 다중이용시설 및 기타 인프라시설 구축, LG유플러스는 5G 서비스 커버리지에서 각각 1위에 올랐다. 이동통신 3사의 평균 5G 다운로드 속도는 616.94Mbps(업로드 56.07Mbps)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밝혔다. 이번 평가는 5G·LTE·3G·와이파이 등을 포함한 무선인터넷, 유선인터넷,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등을 대상으로 했다. 5G 서비스는 상반기 서울 및 6대 광역시에서 전국 85개 시 주요 행정동으로 확대해 평가를 실시했다.

 

5G 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동통신 3사 5G 속도 상반기보다 빨라…속도는 SKT가 1등

 

이동통신 3사의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와 업로드 속도는 모두 지난 상반기 보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5G 서비스로 다운로드 중 LTE로 전환된 비율은 평균 5.49%로, 상반기 6.19% 대비 낮아졌다.

 

각 사별 5G 다운로드 속도는 ▲ SKT 795.57Mbps ▲ KT 667.48Mbps ▲ LGU+ 608.49Mbps 순이었다. 업로드 속도 역시 SKT 69.96Mbps, KT 60.01Mbps, LGU+ 59.99Mbps 순으로 조사됐다.

 

5G 커버리지 내에서 5G 서비스를 이용하던 중 LTE로 전환된 비율은 다운로드 시 평균 5.49%(상반기 6.19%), 업로드시 평균 5.29%(상반기 6.19%)로 나타났다. 통신사별로 보면 다운로드 시 ▲ SKT 3.95% ▲ LGU+ 4.29% ▲ KT 8.22% 순이다.

 

아울러 서울 등 대도시의 다운로드 속도가 730.84Mbps로, 중소도시 665.42Mbps 대비 65.42Mbps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여전히 도·농간 격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5G 서비스 커버리지 현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G 서비스 면적은 LGU+가 가장 넓어…주요 다중이용시설은 KT가 1등

 

5G 커버리지를 보면, 서울특별시는 3사 평균 약 478.17㎢ 면적, 6대 광역시는 약 1,417.97㎢ 면적에서 5G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야를 제외하면 주요 지역의 상당 부분에서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셈이다.

 

과기정통부 홍진배 통신정책관은 "주요 지역 상당 부분에서 5G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도시 중심에서 농촌 지역으로 확대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총 85개 시에서 5G가 서비스 되고 있는 커버리지 면적은 LG유플러스가 6064.28㎢로 가장 넓었다. 이어 ▲ SKT 5242.68㎢ ▲ KT 4920.97㎢가 뒤를 이었다.

 

주요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85개 시의 주요 다중이용시설 총 4516개 중 5G를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은 2792개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시설 내에서 5G 서비스에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면적 비율은 90.99%다.

 

5G 이용이 가능한 전체 시설 수는 KT가 4571개로 가장 높았다. 이어 SK텔레콤이 3814개, LG유플러스가 2072개로 나타났다.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전체 시설 수는 3사 평균 3486개 수준이다.

 

지하철에서는 총 424개 역사에서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상반기 대비 35.5% 증가한 수준이다. 주요 고속도로 20개 노선의 경우 통신 3사 평균 72개 구간에 구축됐고, 고속철도는 평균 52개 역에 구축됐다.

 

◆느려진 LTE, 이유 있었다

 

LTE의 경우 다운로드 속도는 평균 153.10Mbps, 업로드 속도는 평균 39.31Mbps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5.43Mbps, 3.52Mbps 줄어든 수치다. 홍진배 통신정책관은 "농어촌 유지 보수 문제와 도심 지역에서 5G 서비스 LTE 자원 활용이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5G가 서비스 돼도 LTE 또한 5000만명이 넘는 이용자가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LTE 품질이 나빠지지 않도록 통신사들이 품질 관리를 소홀히 하지 않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품질평가 결과는 내년 초 스마트 초이스와 공공데이터포털에 게시할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