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물류/항공

대한항공, 결국 '정관 개정안' 의결...국민연금도 못 막았다

-발행주식 총수 '7억주'로 확대…유상증자 '탄탄대로'

 

-대한항공, 아시아나 신주·영구채 인수…지분 60% 확보

 

대한항공 항공기.

국민연금의 반대에도 정관 일부 개정안이 가결되면서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절차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이날 오전 9시 서울 강서구 본사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발행주식 총수를 확대하는 정관 일부 개정 안건을 상정해 의결했다. 이번 안건의 핵심은 발행주식 총수를 기존 2억5000만주에서 7억주로 늘리는 것이었다. 임시 주총에서는 대한항공의 의결권 있는 주식의 총수 1억7532만466주 가운데 55.73%인 9772만2790주가 출석했으며, 그중 찬성 69.98%를 얻어 해당 안건이 가결됐다.

 

대한항공은 이번 임시 주총에서 정관 개정에 성공한 만큼, 향후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필요한 자금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이다. 먼저 대한항공은 오는 3월 중순경 예정된 2조50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됐다. 발행주식 총수를 늘리는 정관 개정을 시도한 이유도 이 같은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하고자 하는 취지였다.

 

또한 기업결합신고 완료시점에 예정된 아시아나항공의 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한 아시아나항공 지분의 60% 이상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대한항공은 2조5000억원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아시아나항공 신주 및 영구채 인수 등 지분을 확보하려 했다. 이번 임시 주총에서 해당 안건이 부결됐다면 이 같은 아시아나항공 지분 확보에도 차질이 불가피했던 상황인 것이다.

 

앞서 대한항공은 지난해 11월 아시아나항공의 신주 및 영구채를 인수하기로 한 바 있다. 대한항공은 1조5000억원 규모의 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아시아나항공 신주는 물론, 영구채 3000억원도 인수해 아시아나항공의 운영자금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미 신주 인수대금에 대한 계약금 3000억원과 영구채는 지난달 아시아나항공에 지급을 끝마쳤다.

 

이런 가운데 대한항공은 3월 중순까지 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PMI(통합계획안) 수립을 차질없이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현재 기획, 재무, 여객, 화물 등 분야별 워킹그룹으로 이뤄진 인수위원회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대한항공은 산업은행과의 계약상 오는 3월 17일까지 통합계획안을 작성해야 한다. 또한 이달 중순까지 국내·외 경쟁당국에 기업결합신고를 제출하는 등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위한 절차를 밟아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아시아나항공도 대한항공과의 통합을 위해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달 14일 코로나19에 따른 실적 악화 등을 이유로 3대 1의 균등 무상감자를 주주총회에 상정해 의결시킨 바 있다. 무상감자에 따른 아시아나항공의 신주 상장 예정일은 이달 15일이다.

 

또한, 손자회사인 금호리조트도 매물로 내놓으면서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나섰다는 평이다. 현재 매각주간사인 딜로이트안진과 NH투자증권은 총 5곳을 숏리스트(적격 예비인수자)로 선정했고, 이들을 대상으로 현장실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