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물류/항공

항공업계, 여객기→화물기로 바꿨지만 수익성 '글쎄'

대한항공·아시아나, 개조 화물기 6대 그쳐

 

코로나 '선방'…실체는 전년比 매출 40%↓

 

진에어, '여객기' 회귀…'카고 시트백' 활용

 

대한항공 항공기(왼쪽)와 아시아나항공 항공기(오른쪽).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해 수익을 확보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지만, 사실상 큰 수익은 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도 경영 실적에서 선방했다. 대한항공은 별도 재무제표 기준 연간 실적에서 영업이익 2383억원을 내며 흑자를 기록했다. 아시아나도 분기 실적 기준 지난해 2분기부터 3분기 연속 흑자를 냈다. 아시아나는 지난해 4분기 직전 분기(58억원) 대비 약 193% 늘어난 영업이익 170억원을 냈다.

 

특히 화물 부문에서 양사는 전년 대비 큰 수익을 거두고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연간 기준 화물 매출 4조2507억원으로 전년(2조5575억원) 대비 66% 증가했다. 코로나 진단키트와 자동차 부품 수요가 증가했고, 일부 해운수송 수요가 항공수송으로 전환한 것이 배경이 됐다는 분석이다. 대한항공은 기존 23대의 대형 화물기 기단을 활용해 가동률을 전년 대비 25% 높였다.

 

아시아나도 지난해 화물 수송을 적극 확대해 전년 대비 화물 매출이 64% 증가했다. 또, 지역별 화물 운송 분석을 통해 미주, 유럽, 동남아 지역으로 IT, 의약품, 개인보호장비 등을 적극 운송해 매출 2조1432억원을 기록하며 화물 부문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하지만 양사는 이 같은 화물 부문의 호조세에도 사실상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경영난이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 여파를 고려했을 때 흑자를 내며 '선방'했을 뿐 전년보다 전체 매출이 대폭 줄어든 것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각각 지난해 연간 매출은 7조4050억원, 3조5599억원으로 전년 대비 40%씩 감소했다.

 

양사는 화물 부문 공급에 집중하기 위해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하는 시도도 했지만, 이마저도 수익은 크지 않았다. 전 세계 항공사가 여객 대신 화물 시장에 주력해 공급이 대폭 늘어난 만큼, 개조한 여객기까지 투입할 정도의 수요는 되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대한항공은 B777-300 항공기 2대, 아시아나는 최근 2대를 추가로 개조해 A350-900 항공기 4대 등 양사가 운영 중인 개조 여객기는 단 6대뿐이다.

 

아울러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가운데 유일하게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했던 진에어도 현재는 이를 운영하지 않고 있다. 앞서 진에어는 지난해 10월 LCC 최초로 인천-방콕 노선에 B777-200ER 여객기를 개조한 화물 전용기 1대를 주 2회 일정으로 운항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재 진에어는 해당 개조 항공기를 다시 화물 전용기가 아닌 여객기로 활용 중이다. 화물 전용기로 여객기를 운용하는 방법보다 '카고 시트백'을 활용해 여객기를 운항하는 것이 더 수익이 나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카고 시트백은 기내 좌석에 짐을 실을 수 있도록 특별 제작된 화물 전용 가방을 지칭한다.

 

카고 시트백을 모두 활용해 여객기를 띄우면 화물 수송량이 화물 전용기와 비슷한 수준이 된다.  이에 따라 진에어는 해당 항공기를 3월 말부터 주중에는 화물기, 주말에는 국내선 대상 여객기로 운항해 기재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화물기로 개조한 여객기가 큰 수익을 내지는 않는다. 하지만 도움이 되는 것은 맞다"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