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코로나19 등 대응...재난안전위기관리협회(DSCMA) 출범

감염병·ESG·화재·식품·금융 등 각종 리스크 체계적 지원

재난안전위기관리협회(DSCMA) 로고.

재난안전위기관리협회(DSCMA)가 출범했다.

 

재난안전위기관리협회(DSCMA·Disaster Safety Crisis Management Association)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코로나19를 포함한 각종 재난위기 상황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관리하기 위한 협회 설립 준비 과정을 거쳐 지난 9일 주무부처인 행정안전부로부터 협회 설립 허가를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재난안전위기관리협회는 전 세계에서 대유행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포함한 감염병 재난에서부터 최근 기업의 화두가 되고 있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 화재, 식품사고, 금융위기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해당 이슈를 관리하고 대응할 계획이다.

 

비영리 사단법인인 위기관리협회는 각종 재난적 사고 등에 대해 물리적 예방 및 대응에 초점을 두는 기존의 안전관리와는 달리, 해당 위기로부터 발생하는 위험(리스크·risk)에 대해 관련 이해관계자들이 예방, 준비, 대응, 평가 등 측면에서 효과적인 관리하는 데 초점을 맞춰 민관이 함께 모였다.

 

재난안전위기관리협회는 이를 위해 협회를 첫 출범시킨 발기인 외에도 민관학(民官學)계에서 추가로 ESG분야를 비롯해 이슈 특성에 따라 국내외 전문가를 초청해 앞으로 각종 재난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함으로써 국민의 사회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함은 물론, 국민의 건강과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자연 재난(natural disasters)과 사회 재난(man-made disasters)에 대한 이해도 제고를 위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포함해 관련 연구 및 출판, 학술대회, 평가인증, 국제기구와 협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기업의 전통 위기인 오너 리스크와 독립성 훼손 문제에 대한 위기관리 교육 및 연구를 포함해, 최근 기업 전반에서 화두로 떠오른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과 관련해 위기관리 측면에서 필요한 전반적인 솔루션에 관한 담론의 장도 마련할 예정이다.

 

이번에 공식 출범할 재난안전위기관리협회의 주요 발기인(가나다순)은 △김찬석 청주대 미디어콘텐츠학부 교수(전 한국PR학회장) △박기수 한성대 행정대학원 특임교수(전 보건복지부 부대변인) △박원호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 △신동휘 CJ대한통운 상임고문 △유무영 전 식품의약품안전처 차장(현 서울대 약학대학 객원교수) △유영석 레인보우커뮤니케이션 대표 △이보형 마콜컨설팅그룹 대표 △전병율 전 질병관리본부장(현 차의과대학 보건산업대학원장) △조종묵 전 소방청장(현 충남대 과학수사과 초빙교수) 등이다.

 

창립총회에서 협회 회장으로 추대된 김찬석 회장(청주대 교수)은 "기업에게도 갈수록 위기관리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재난위기 대응의 필요성도 그만큼 커졌다"면서 "국민생명과 기업재산 보호를 위해 앞으로 민관학계가 효과적으로 위기대응에 나설 수 있는 발판을 우리 협회가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사회재난#오너리스크#환경·사회·지배구조#김찬석교수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