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물류/항공

항공업계, 수에즈 운하 사고에 화물수송 '반짝' 빛 볼까

-일주일째 막혔던 '수에즈 운하'…드디어 '부양 작업' 성공

 

-수에즈 운하 재개통 시점은 불명확…"긴급한 건 항공으로"

 

플래닛 랩스의 위성 사진에 지난 28일(현지 시간) 이집트 수에즈의 수에즈 운하에 화물선 '에버 기븐'이 갇혀 있다./사진=뉴시스

좌초됐던 에버 기븐호가 일주일 만에 부양 작업에 성공했지만, 수에즈 운하의 정상화 시점은 아직 불투명해 항공 업계가 화물 부문서 수혜를 볼 것이라는 전망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주부터 수에즈 운하를 막고 있던 에버 기븐호가 부양 작업에 성공했다. 10척의 예인선과 배 뒤쪽의 진흙을 파내기 위한 준설선 등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 것으로 보인다. 엔진도 가동해 이동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에버 기븐호는 길이 400m, 폭 59m, 22만t 규모의 대형 컨테이너선이다.

 

앞서 지난 23일(현지 시간) 중국에서 출발해 네덜란드로 향하던 대만 선사 에버그린 소유 에버 기븐호는 수에즈 운하 남쪽 인근에서 좌초된 바 있다. 이에 일주일째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해상 무역의 핵심 통로가 막히면서 전 세계 물류 흐름에는 큰 차질이 생겼다. 수에즈 운하는 전 세계 무역량의 12%가 지나다니는 수로다. 업계에 따르면 하루 90억 달러(10조1889억원)의 손실을 초래했다.

 

문제는 에버 기븐호가 떠올랐다고 해도 아직 수에즈 운하가 언제 정상화될지는 알 수 없다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선박을 활용한 수송 대신 항공 화물 부문의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이미 일부 선사들은 불확실한 수에즈 운하의 재개통을 기다리는 것보다 우회하는 게 낫다는 판단하에 아프리카 희망봉 항로로 우회하는 결정을 했다.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사인 머스크도 지난 28일 기준 선박 15척을 우회시켰다. 또한,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HMM(구 현대상선)도 선박 4척에 대해 희망봉으로 우회를 결정했다. 다만 희망봉 항로로 우회할 경우 추가 운항 시간과 연료비가 소요되는 것은 불가피하다.

 

국적 항공사 가운데 화물기를 이용해 직접 화물 수송을 할 수 있는 항공사는 FSC(대형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다. 나머지 LCC(저비용항공사)들은 화물기를 따로 보유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지난해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화물 부문에 집중해오던 대한항공과 아시아나가 수익성을 제고할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엄경아 신영증권 연구원은 "컨테이너 선박으로 주로 완성품을 배달하기 때문에 컨테이너 쪽 화물 중 시간이 긴급한 게 있다면 화물을 항공으로 돌리는 게 가장 쉬운 방법이다"라며 "아프리카 희망봉으로 우회하는 것은 운송 거리가 중국에서 로테르담까지 간다고 했을 때 약 60~70% 정도 늘어난다. 이 때문에 실제로 기간이 1~2주 더 걸린다"고 설명했다.

 

이어 "긴급한 화물이 있다면 당연히 항공으로 우회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페널티를 무는 것보다 차라리 빨리 운송하는 게 낫다고 판단된다면 (항공으로) 줄 것이다"라며 "항공은 전체 화물 운송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좀 작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 넘어오는 화물이 있다고 하면 그 업종으로는 영향이 되게 큰 편이다"고 말했다.

 

#수에즈운하 #에버기븐호 #좌초 #항공업계 #수혜가능성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