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긴 터널 뚫고 나온 정유업계…'이란發 공급' 암초될까

-정유 4사, 지난해 적자만 5조… 1분기 흑자전환?

 

-국제유가도 연일 약세…정제마진은 손익분기점 ↓

 

에쓰오일 울산공장 전경.

지난해부터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경영난을 지속해 온 정유업계가 흑자를 낼 것이란 전망이다. 하지만 여전히 불안한 대내외 시장 환경과 함께 이란 핵합의 등 관련 공급 증가 우려도 커지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정유업계는 올해 1분기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올해 1분기 ▲매출 9조6850억원 ▲영업이익 236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전년 동기 영업이익(-1조7752억원) 대비 흑자전환 하는 것이다.

 

에쓰오일도 올해 1분기 ▲매출 5조2964억원 ▲영업이익 3247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 동기 영업이익 -1조73억원에서 역시 흑자로 전환하는 것이다.

 

비상장사로 공시 의무가 없는 GS칼텍스와 현대오일뱅크도 이번 1분기에는 흑자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국내 정유 4사는 지난해 대규모 적자를 면치 못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전 세계적인 이동 축소 등 석유 제품에 대한 수요가 대폭 줄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연간 기준 사별 영업손실은 ▲SK이노베이션 2조5688억원 ▲에쓰오일 1조877억원▲GS칼텍스 9192억원 ▲현대오일뱅크 5933억원 등으로 모두 약 5조원을 기록했다.

 

다만 이 같은 흑자 기조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고 보는 시각은 적다. 코로나 상황이 해소되지 않아 언제 다시 석유제품 수요가 줄지 알 수 없고, 최근 들어 대내외적으로 변수가 많아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정유 시장의 수요도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상황이다. 외려 각종 변수에 다시 적자로 전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지난 1일(현지 시간) 열렸던 주요 산유국 협의체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 화상회의 결과에 따라 국제유가는 한때 반등하기도 했다. 국제유가가 오르면 정유사는 이전에 구매했던 원유를 더 비싸게 팔 수 있어 수익성 제고가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 석유제품에 대한 수요가 회복되지 않아 이는 일시적 오름세에 한정됐다.

 

또한 최근에는 국제유가가 다시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OPEC+ 회의 이후 큰 반등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특히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다시 60달러를 밑돌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WTI는 지난 1일 61.45달러를 기록하고, 5일 58.65달러로 내려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 중이다. 지난 12일 기준 WTI는 59.70달러를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이란 핵합의(JCPOA) 복원 협상도 진행되며 공급 증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JCPOA 당사국들은 오스트리아 빈에서 핵합의 복원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회의는 이달 14일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대이란 제재가 해제되면 이란의 석유 수출이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이미 시장에 반영돼 국제유가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OPEC+ 결정에 따라 5월~7월 순서대로 일일 35만 배럴, 35만 배럴, 45만 배럴도 증산된다.

 

아울러 정유사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인 정제마진도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싱가포르 복합 정제마진은 3월 둘째 주부터 1.7달러를 유지하다가 4월 둘째 주 2.1달러로 다시 2달러대를 회복했다. 하지만 정유사의 손익분기점(BEP)은 통상 4~5달러로 아직 공장을 가동해도 적자를 내는 수준이다.

 

한국석유공사는 "이란 핵 합의 복원을 위한 협상이 재개됐다. 관계자들은 회의에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라며 "협상 합의 시 2백만 b/d 이란산 석유 공급이 시장에 복귀할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이란과 미국은 미국의 이란 제재 해제와 관련해 의견 차이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