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파·계란, 휘발유 죄다 올랐다...소비자물가 2.3%↑, 3년 8개월만 최고

4월 농축수산물 13.1%↑·석유류 13.4% ↑

4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농축산물 가격에 국제유가 상승세까지 겹치며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년 8개월 만에 2%대를 넘어섰다.

 

4일 통계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9(2015년=100)로 전년 동월대비 2.3% 올랐다. 이는 2017년 8월(2.5%)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는 코로나19 사태 후 0∼1%대로 낮은 상승률을 유지해 왔다. 하지만, 최근 농산물 가격 상승에 국제유가도 오르며 올해 2월(1.1%), 3월(1.5%) 상승세를 이어갔다.

 

품목별로 보면 작황 부진과 조류 인플루엔자(AI) 영향으로 농축수산물이 13.1% 올랐다. 지난 1월(10.0%) 이후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세다.

 

구체적으로 농산물은 전년 동월대비 17.9% 상승했다. 파(270.0%)와 사과(51.5%), 고춧가루(35.3%), 쌀(13.2%)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축산물도 11.3% 오른 가운데 산란계 부족으로 달걀은 36.9% 상승했다.

 

국제유가 상승세에 공업제품 물가는 2.3% 올랐다. 석유류 13.4% 오른 가운데 휘발유와 경유가 각각 13.9%, 15.2% 올랐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9(2015=100)로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했다. 2017년 8월(2.5%)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그래픽=뉴시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일시적 물가 상승이 과도한 인플레이션 기대로 확산되지 않도록 물가 안정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서민생활과 밀접한 관련 있는 농축산물 가격 안정을 위해 5월 중 계란 추가수입 등을 추진할 것"이라며 "조생종 출하 등으로 가격이 안정화되고 있는 대파·양파의 경우 조기출하 독려 등을 통해 가격을 조기 안정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부담 완화를 위해 조달청이 비축 중인 구리·알루미늄·주석을 5월에도 1~3% 할인해 방출하겠다"고 덧붙였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외식 물가도 1.9% 올랐다. 2019년 6월(1.9%)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식료품·비주류음료(8.1%), 교통(6.4%), 음식·숙박(1.8%), 기타 상품·서비스(2.6%) 등도 모두 올랐다.

 

집세는 한 해 전보다 1.2% 상승했다. 2017년 12월(1.2%)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전세는 2018년 4월(1.7%) 이후 최대 폭인 1.6%, 월세는 2014년 10월(0.7%) 이래 최대 폭인 0.7%였다.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보다 2.8%, 신선식품지수는 14.6% 각각 올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