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푸드

김치 세계화 가속…중국산은 어쩌나

김치 수출업체 1위 대상은 김치세계화를 목표로 마케팅을 하고 있다. 대상 종가집이 후원하고, 세계 최고 요리학교인 프랑스의 '르 꼬르동 블루' 본교와 한국 전통음식과 문화를 현지 사회에 알리는 활동을 하는 AMA(Association Mes Amis)협회가 공동주최한 '종가집 김치 요리대회'가 지난 1월 성료했다.

식품업계가 'K푸드' 대표식품인 김치를 통한 해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각에서는 순풍을 타고 있는 김치 세계화가 값싼 중국산 김치 공세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코로나19 이후 건강식품에 관한 관심과 한류 열풍이 맞물리며 김치 인기가 늘어났다. 14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김치 수출액은 1억4451만 달러로 전년보다 37.6% 증가했다. 이는 기존 최대치인 지난 2012년(1억661만달러)을 8년 만에 넘어선 수치다. 올 4월 기준 누계 수출액은 611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5.4% 증가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김치 세계화의 선결 과제인 탈(脫)아시아가 진행되면서 김치 수출 시장은 전 세계 80여 곳에 달했다. 수출 비중의 49.2%(7110만 달러)를 차지하는 일본에 이어 이어 미국(2306만 달러), 홍콩(776만 달러), 대만(587만 달러), 호주(564만 달러), 네덜란드(515만 달러) 순으로 김치를 수출했다. 이들을 포함해 총 100만 달러 이상 김치를 수입한 국가가 14개국에 달했다.

 

국내 기업들도 해외 생산 설비 증설 등 투자를 확대하면서 김치 수출 확대에 힘쓰고 있다. 김치 수출 1위 업체인 대상은 김치의 세계화를 목표로 지난해 말부터 중국 롄윈강 공장을 가동하며 중국 현지 생산에 들어갔다. 올해 안에 미국 현지에 김치 생산 공장을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CJ제일제당은 미국남자프로골프투어(PGA)를 후원하며 비비고 김치 부스를 운영하는 등 비비고 브랜드를 무기로 일본, 미국 등 30여 개 국가에서 현지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비비고 김치' 글로벌 시장 전체 매출은 해마다 25% 가량 늘어나고 있다.

 

대상과 CJ제일제당은 김치 세계화를 위해 국내 중소 김치기업과의 공생도 꾀하고 있다. 최근 유럽연합(EU) 복합 식품 수입 규정이 개정되면서 EU 지역으로 김치를 수출하는 업체는 EU수출 작업장 등록 인증서를 반드시 제출하도록 바뀌었다. 국내에서 유이하게 EU 인증 젓갈 생산라인을 갖춘 대상과 CJ제일제당은 EU 수출을 희망하는 모든 업체에 원하는 만큼 충분한 젓갈이 제공되도록 협력할 예정이다.

 

해외에서 K푸드 및 김치 인기가 커지자, 국내 식품기업은 김치를 활용한 제품을 선보였다. (왼쪽부터) 동원 김치참치, 농심 신라면블랙 두부김치

김치를 활용한 K푸드도 등장했다. 동원F&B는 K푸드 대표식품인 김치를 활용한 참치캔 '동원 김치참치'를 출시했다. 동원F&B는 '동원 김치참치'를 국민 반찬으로 육성해 나가면서 동시에 해외 소비자들의 입맛도 사로잡는다는 계획이다. '동원 고추참치'는 향후 동남아 시장 공략을 위해 할랄 인증을 받고, 미주 시장을 비롯한 해외 여러 나라에 제품을 수출해 나갈 계획이다. 농심은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세계 최고의 라면' 신라면블랙과 한국인이 좋아하는 두부김치의 맛을 접목한 '신라면블랙 두부김치'를 출시했다.

 

국내 기업들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김치세계화에 발목을 잡는 존재가 있다. 바로 종주국 논란에 불을 지피는 중국이다. 김치종주국이라는 타이틀이 무색하게 국내에서 중국과의 김치 무역수지는 11년 넘게 적자를 보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김치 시장은 791만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2020년 한국의 김치 수입액은 1억5246만달러로 전년 대비 16.4% 증가했다. 전체 수입에서 99.9%가 중국산이다. 사실상 수입산 김치는 중국 김치로 봐도 무방하다.

 

가격 경쟁력에서 중국을 따라잡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중국산 김치 대부분은 산둥성을 중심으로 형성된 100여 곳의 제조업체에서 만들어진다. 제조 단가는 1㎏당 863원으로 국산 김치(2872원)와 비교해 3분의1에 불과하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산 김치 가격은 대부분 재료비와 인건비로 구성돼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저렴한 중국산 김치 공세에 밀릴 수밖에 없다"면서 "김치세계화 성공을 위해선 자동화 기술도입으로 원가를 낮추고, 국내산 김치의 높은 품질을 마케팅하면서 경쟁력을 키우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