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특징주

공매도·외국인 이탈에 삼전 등 대형주 '주춤'

외국인 매도와 공매도로 대형주가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증시 밑기둥을 떠받들던 '동학개미'도 주춤한 모양새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8일까지 8거래일간 외국인은 국내 증시에서 2조844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이 가운데 삼성전자를 9816억원어치 순매도됐다. 같은 기간 코스피와 코스닥지수는 각각 5.66%, 7.90% 하락했으며 기관(7409억원) 매도세까지 더해지며 삼성전자 주가는 7.98% 급락했다. 또 카카오(1206억원·-2.08%), 삼성전자우(3033억원·-7.92%), 삼성SDI(1050억원·-6.67%), SK하이닉스(841억원·-10.05%)도 대거 내다 팔았다.

 

지난 9월 외국인은 국내 증시에서 1조103억원어치를 순매수했지만 5개월 만에 외국인이 매도세로 돌아선 것이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우려와 중국 헝다그룹 사태 등의 대외 악재로 인해 위험 기피 현상 등이 신흥국 증시에서 외국인 투자금이 대거 빠져나간 것으로 분석했다.

 

여기에 삼성전자는 지난 8일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발표했다. 올해 3분기 매출은 73조원, 영업이익은 15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전 거래일에는 외국인이 234억원치 순매수했지만 하락세는 전환되지 못했다.

 

이와 함께 개인투자자들에게 흠슬라(HMM+테슬라)라는 별칭까지 얻은 HMM 주가 역시 이달 들어 약 9%가량 하락했다. 이에 업계에서는 하락세의 주요 원인이 공매도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달 공매도 거래대금이 가장 많은 종목이 삼성전자였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공매도 잔고는 주가가 하락한 지난 8월 말부터 이번달까지 약 4배 늘었다. 같은 달 삼성전자의 공매도 거래대금은 총 2264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아울러 지난 5월 재개된 공매도 시장도 외국인과 기관이 전체 거래 규모의 98%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자본시장의 불균형을 시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