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 > 보도자료

금감원, 5년간 229개사 혐의 심사·감리…90% 위반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이 최근 5년간 229개 회사에 대한 혐의 심사·감리를 실시해 208곳을 지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 대상 회사의 고의·중과실 비율은 절반에 달했다.

 

금감원은 최근 5년간 총 229개사에 대해 혐의 심사·감리를 실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가운데 상장회사는 168개사, 비상장회사는 61개사였다.

 

신(新) 외부감사법 시행으로 인한 엄격한 감사환경 조성 등으로 중요한 회계오류 수정회사가 증가했고 지난 2019년 재무제표 심사제도 도입에 따른 경조치 회사 신속종결 등으로 최근 실적이 늘었다.

 

종결 회사 수를 연도별로 보면 2016년 41곳, 2017년 18곳, 2018년 29곳, 2019년 61곳, 지난해 57곳, 올해 상반기 23곳 등으로 최근 늘어나는 추세다.

 

착수경위별 실시비중은 ▲회사의 회계오류 자진수정 50.2%(115곳) ▲감독·검사업무 중 인지 18.4%(42곳) ▲심사·감리 중 인지 14.0%(32곳) ▲민원·제보 접수 8.3%(19곳)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회계처리기준 위반사항을 지적한 비율은 90.8%로, 229개사 가운데 208곳을 지적했다. 타 기관이 통보한 혐의회사(100%)와 감독·검사과정에서 발견된 혐의회사(97.6%)에 대한 심사·감리 결과 지적률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혐의 심사·감리 결과 지적한 208개사의 위법동기는 고의 44개사(21.1%), 중과실 59개사(28.4%), 과실 105개사(50.5%) 등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9년 조치양정기준 개정으로 중과실 위반을 엄격 적용함에 따라 중과실 비중은 낮아지고 과실 비중은 높아졌다.

 

고의 지적률은 민원·제보(72.2%)와 타기관통보(55.6%)가 높은 반면 과실 지적률은 오류수정(66.0%), 기획심사·감리(72.7%)가 높았다.

 

위반유형을 보면 당기손익이나 자기자본의 왜곡을 초래하는 중요한 위반 회사가 208개사 중 172곳으로 지적회사의 82.7% 수준으로 나타났다. 해당 유형의 비중은 고의 위반회사의 경우 97.7%로 높은 반면 과실 위반회사의 경우 74.3%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208개사에 대한 회계처리기준 위반 지적사항은 총 397건으로 회사당 평균 1.9건을 기록했다. 당기손익이나 자기자본의 왜곡을 초래하는 중요한 위반 관련 지적이 289건으로 전체 위반 지적사항의 72.8%를 차지했다.

 

금감원은 최근 5년간 혐의 심사·감리 결과 회계처리기준 위반이 확인된 208개사 중 202개사를 조치하고 이중 134곳의 감사인을 조치했다. 조치회사 중 상장회사는 146곳, 기타 비상장 사업보고서 제출회사나 금융회사는 56곳으로 집계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