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안상미 기자의 와이(Why) 와인]<159>불타는 여름…와인의 위기

<159>와인과 기후변화

 

안상미 기자

'너무 덥다'라는 말로는 부족하다. 숨이 막힐 지경이다. 여기에 마스크까지 몸의 온도를 몇 도는 더 높여준다. 그 어떤 좋은 와인이라도 진득한 레드와인보다는 시원하게 찰랑거리는 스파클링 와인에 더 손이 간다.

 

우리나라만 땀을 흘리는게 아니다. 중국 상하이에서 미국 달라스까지, 유럽대륙도 파리에서 런던까지 기록적인 폭염이 북반구 전체를 휩쓸고 있다. 세계 온도 지도는 북아프리카와 중동 뿐만 아니라 유럽과 북미, 동아시아가 모두 35℃ 이상 고온임을 나타내는 주황색으로 뒤덮였다. 빙하는 녹고, 강은 마른다. 애써 키운 농작물은 고사한다.

 

특히 최근 몇 년간 와인생산량이 매해 역대 최저치를 경신하는 것도 기후변화의 영향이 가장 크다.

 

올해는 유독 심하다. 와인 최대 산지인 유럽 전역에서 봄은 건조했고, 여름은 기록적인 고온이다.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까지 모두 최고 기온이 40℃를 넘어섰다. 수확량이 급감한 것은 물론 산불은 그나마 남은 포도마저 좋은 와인을 만들기는 어려운 상태로 해놨다. 올해는 와인의 양과 질, 모두 문제가 될 것이란 얘기다.

 

지난 3일 독일의 한 국립공원에서 소방차가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AP·뉴시스

와인 종주국 프랑스의 보르도도 열기와 연기로 가득찼다.

 

지롱드농업회의소 브루노 사미 포도재배 컨설팅 이사는 "우리는 기후 변화의 시대를 살고 있다. 40℃ 이상의 온도를 견뎌야 하는 일은 종종 있었지만 일찍부터, 그리고 연중 내내 가뭄인 올해와 같은 경우는 거의 없었다"며 "지금과 같은 상황이 이어진다면 올해 보르도의 수확량은 급감할 것"이라고 토로했다.

 

원래 포도나무는 가뭄에 강하다. 생존 자체는 문제가 없지만 좋은 와인을 만들만한 포도 상태는 아니다. 포도나무는 잎이 말라가더니 포도알도 영글기를 포기했다. 아직 깊이 뿌리내리지 못한 어린 포도나무나 모래나 자갈 토양인 포도밭은 더 문제가 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산불도 발생했다. 다행히 포도밭까지 번지진 않았지만 근접한 와이너리는 연기로 가득찼다.

 

스페인은 거의 전역이 화재로 고역을 치렀다. 작년 10월 이후 스페인의 강우량은 평년 대비 25%나 급감한 반면 지난달 16일에는 온도가 무려 45.5℃까지 치솟는 등 고온이 이어졌다.

 

강에 인접한 포도밭들은 자연 방화벽 역할을 하면서 인명은 구했지만 와이너리들의 손실은 컸다. 화마가 덮친 시기는 하필 포도알이 연두색에서 붉은 색으로 변하기 시작하는 중요한 시기였다. 열기가, 그리고 가득찼던 연기가 와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추측만 할 수 있을 뿐이다.

 

포르투갈은 역사상 가장 건조한 여름을 보내고 있는 중이다. 지난 겨울부터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았다. 올해 들어 강수량은 전년 대비 3분의 1도 되지 않았고, 포도 수확량은 예년보다 훨씬 적을 것으로 보인다.

 

유명 와인 산지인 도우로 밸리의 일부 지역은 지난달 중순 기온이 49℃까지 오르기도 했으며, 밤 사이 최저 기온이 35℃인 극단적인 날씨를 겪었다.

 

와인애호가들이야 당장 올해 와인이 걱정이고, 비싼 가격이 부담이겠지만 와인메이커들의 우려는 더 크다. 이런 기후가 이제 포도재배의 일반적인 상황이 될까봐 말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