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두배 오른 전세이자에...청년 절반이상 '허덕'

2030세대, 전세대출 차주 60% 이상 차지
1년 만에 이자 '두배' 올라…자산소득 대비 부실 가능성↑

/진선미 의원실 제공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7%선을 돌파해 1년여 만에 이자가 두 배 불었다. 특히 전체 차주의 절반인 2030 세대의 이자부담이 급증하면서 청년세대의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24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해까지만 해도 2~3%대였던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최고 금리가 최근 7%선을 뚫었다.

 

하나은행의 전세금안심대출 금리는 연 5.942~7.042%(신규코픽스 6개월 변동 기준)다. 전세대출 금리가 1년여 만에 두 배가 된 셈이다.

 

다른 은행의 전세대출 금리도 7% 진입을 눈앞에두고 있다. KB국민은행의 전세대출 금리는 4.92~6.32%다. 신한은행의 '신한전세대출(서울보증)' 금리는 연 4.79~6.79%, 농협은행의 전세대출 금리는 연 5.40~6.7로 7%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우리은행 역시 코픽스 상승분을 반영해 지난 18일부터 아파트론 금리를 5.68~6.48%로 올렸다. .

 

문제는 은행 전세대출은 94%가 변동금리이고 대출자 10명 중 6명이 2030세대라는 점이다. 이들은 소득이나 자산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 두배 이상 불어난 이자가 부담이다.

 

예를 들어 20대 A씨의 경우 지난해 3%대 금리로 전세대출(2억원)을 받아 매달 50만원대 이자를 부담해 왔다. 그러나 7%대로 오른 지금 이자가 두배 이상 불어나 117만원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금융감독원로부터 제출받은 '전세자금대출'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 국내 은행에서 전세대출을 받은 차주 137만6802명 중 20~30대 차주가 84만8027명으로 전체의 61.6%에 달한다. 대출 잔액으로 보면 전체 55.6%를 차지한다.

 

구체적으로 6월 말 현재 20대 차주 수는 30만6013명(22.2%), 30대 차주 수는 54만2014명(39.4%)으로 집계됐다. 대출 금액 기준으로도 20대 차주 23조8633억원(14.1%), 30대 차주 70조1325억원(41.5%)으로 20~30대 전세대출 잔액(93조9958억원·55.6%)이 100조원에 육박한다. 이는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을 합친 것보다 큰 규모다.

 

전세자금대출 차주는 2년 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말 130만4991명에서 올해 6월 말 137만6802명으로 늘었다. 이 기간 2030 청년층 차주는 29만4892명에서 30만6013명까지 불어나 6.2%가 늘었다.

 

특히 이들의 전세자금대출은 정책금융을 제외하면 대부분 변동금리다. 전세자금대출 금리 유형을 살펴보면 은행권 변동금리형 전세자금 대출 잔액은 작년 말 기준 151조5000억원으로 전체 162조원의 93.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세대의 이자부담은 앞으로 더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다음달 추가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전세금리는 연내 8%를 넘길 것이란 관측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음달 한은이 한 번 더 금리인상을 인상하면 오는 12월 대출 금리가 더 크게 오를 것"이라며 "청년층의 부실화가 현실화되지 않도록 전세자금대출에 대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