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서울 집값, 22주째 내림세...“시장 얼어붙어”

올해 9월까지 누적 아파트 매매거래량, 전년 동기 대비 55.6% 감소
주택담보·전세·신용대출 금리, 13년 만에 7% 넘어서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뉴시스

서울 아파트값이 22주 연속 내림세를 기록했다. 올해 9월까지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절반 이상 떨어졌고, 주택담보·전세·신용대출 금리는 13년 만에 7%를 넘어섰다. 추가 금리 인상 우려와 거래절벽 현상이 이어질 것이란 예상이 나오는 가운데 부동산 시장 침체는 더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31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24일 기준)'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28% 하락했다. 하락폭은 전주(-0.27%)보다 0.01%포인트 확대됐다. 지난 5월 마지막 주에 하락(-0.01%) 한 뒤 22주째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동북권에서는 노원구(-0.41%→-0.36%)가 공릉·상계·중계동, 도봉구(-0.42%→-0.40%)는 창·방학동 구축 위주로 하락폭이 이어졌다. 성북구(-0.37%→-0.38%)는 길음·돈암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폭이 커졌다.

 

서북권에서는 은평구(-0.36%→-0.35%)가 진관·녹번·응암동, 금천구(-0.30%→-0.30%)는 시흥·독산동 위주로 하락하며 하락폭을 이어갔다.

 

동남권에서는 송파구(-0.38%→-0.43%)가 잠실·가락·장지동 대단지, 강동구(-0.31%→-0.35%)는 암사·천호·둔촌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폭이 확대됐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금리 상승 기조가 지속될 것이라는 시장 전망과 아파트 가격의 추가 하락 예상이 지배적"이라면서 "매수 문의 감소가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 급매물 중심으로만 간헐적으로 거래가 성사되며 하락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9월 주택 유형별 거래량 및 증감률./국토교통부

서울 지역의 집값이 계속 하락하는 상황에서 올해 9월까지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절반 이상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이날 발표한 '9월 주택통계'를 보면 1~9월 누적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모두 24만3514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6% 감소했다. 지난달 아파트 매매거래량(1만8028건)은 전월(1만9516건) 대비 7.6% 감소했고, 전년 동월(5만5191건) 보다 67.3% 떨어졌다. 서울 지역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856건을 기록하며 같은 기간 각각 5.6%(907건), 77.9%(3874건)감소했다.

 

거래절벽이 이어지는 가운데 주택담보·전세·신용대출 금리가 7%를 넘어섰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주담대 고정형(혼합형) 금리 상단은 이날 기준 연 5.35~7.33%, 변동형 금리는 연 5.02~7.50%, 신용대출 금리는 연 5.96%~7.25%, 전세대출 금리는 4.97~7.25%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과 거래절벽 현상 등이 장기화되면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더 심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시장 분위기를 보여주는 가장 핵심 지표는 거래량이다. 가격은 속여도 거래량을 속이지 못한다"면서 "대출금리 인상, 금융시장 불안 등이 복합적으로 겹쳐 시장이 얼어붙고 있다"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