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123) 버려진 주차램프가 지붕 없는 미술관으로··· 중구 '도킹 서울'

지난달 18일 오후 중구 봉래동2가에 자리한 '도킹 서울'을 방문했다./ 김현정 기자

옛 서울역 주차램프가 노천 미술관으로 재탄생했다. 서울시는 구 서울역사 폐쇄램프를 시민을 위한 문화예술 공간으로 만들어 지난달 18일 '도킹 서울'을 개장했다. 통상 우주 공간에서 다른 비행체와 우주선이 결합하는 것을 '도킹'이라고 표현한다. 사람과 도시가 만나는 관문인 서울역처럼 이 폐쇄된 주차램프가 공공미술 작품을 통해 시민과 만나 새로운 우주로 연결된다는 뜻을 담아 '도킹 서울'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시는 설명했다.

 

◆인터렉티브 미디어아트·설치 미술 작품 등 볼거리 풍성

 

구 서울역 주차램프 모습./ 서울시

지난 10월 18일 서울 중구 봉래동2가에 자리한 '도킹 서울'을 방문했다. 지하철 1호선 서울역 1번 출구로 나와 롯데마트 안으로 들어간 뒤 엘리베이터를 타고 4층 야외주차장에서 내리면 도킹 서울의 입구에 도착하게 된다.

 

도킹 서울은 영국의 철학자 제러미 벤담이 프랑스 의회에 제안한 원형 감옥처럼 생겼다. 둥글게 말린 건물의 흰색 외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네모난 창이 뻥뻥 뚫려 있었다. 원통 중앙에 감시탑을 세우고 벽에 감방을 둥글게 배치한 형태의 '파놉티콘'을 눈앞에서 보는 듯했다. 도킹 서울에는 ▲이동하는 일상 ▲푸른 태양 무대 ▲생명하는 우주라는 3가지 테마 아래 예술가, 과학자, 시민이 협력한 공공미술 작품 7점이 전시됐다.

 

관람 순서를 따라 램프 하행 방향으로 내려가 첫번째 작품인 양정욱 작가의 '그는 둥글게 집을 돌아갔다'를 가장 먼저 구경했다. 나무 블라인드 조각들이 천장에 매달린 채 느릿느릿 움직이고 있었다. '아기 공룡 둘리'라는 만화에 나오는 가시고기가 물속을 유유히 헤엄치는 모습처럼 보였다. 이 작품은 사람들이 걷거나 서 있는 동작들을 포착해 움직이는 조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도킹 서울'에 전시된 차동훈 작가의 인터렉티브 미디어아트 작품 '디폴트'./ 서울시

이어 배의 조타 핸들처럼 생긴 차동훈 작가의 작품 '관측지점'을 감상했다. 차 작가는 "제가 처음에 여기에 왔을 때 몇층에 있는지가 파악이 안 됐다. 방향감의 상실이 굉장히 매력적이게 느껴져 어떤 작품을 제작할지 구상하다가 내가 있는 위치, 내가 지금 가고 있는 방향, 그런 게 흐트러진 상황에서 나라는 존재가 어디에 있는지 그것이 과연 어떻게 측정되는지를 생각하게 하는 작품을 만들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관측지점은 도킹 서울의 공간을 실재감 있는 3D 영상으로 재현한 반응형 미디어 작품이다. 관람자가 바라보는 시선에 따라 각기 다른 시공간이 화면에 표출됐다.

 

10월 18일 오후 옛 서울역 주차램프를 재생해 만든 공공미술 플랫폼 '도킹 서울'을 방문했다.(사진은 정소영 작가의 설치 미술 작품인 '깊은 표면')/ 김현정 기자

도킹 서울 중정에서는 보라색 소용돌이 모양의 나선형 구조의 설치 미술 작품이 시민들을 맞았다. 먼 지구의 시간을 간직한 심해부터 우주 공간까지, 물질이 모여 탄생하고 소멸하는 생명의 질서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정소영 작가는 "이곳에 처음 왔을 때 예상치 못한 깊이감에 놀라 작품 이름을 '깊은 표면'으로 지었다"고 말했다.

 

10월 18일 오후 옛 서울역 주차램프를 재생해 만든 공공미술 플랫폼 '도킹 서울'을 방문했다.(사진은 팀코워크의 설치 미술 작품인 '푸른별')/ 김현정 기자

미끄럼틀처럼 생긴 '깊은 표면' 위에는 팀코워크의 작품 '푸른별'이 설치됐다. 공상과학 영화에서 주인공이 다른 차원의 시공간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게이트'처럼 보였다.

램프의 상향 방향 첫머리에서는 시민 참여 작품 '나의 우주색'을 만나볼 수 있었다. 시민들이 바라본 하늘의 순간을 수집한 참여형 작품이다. 72명이 찾아낸 하늘의 다양한 빛깔과 색의 이름을 지어 '우주색 팔레트'로 만들었다고 시는 설명했다.

 

지난달 18일 오후 진행된 도킹 서울 프레스 투어에서 김주현 작가가 설치 미술 작품인 '생명의 그물 - 아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마지막으로 김주현 작가의 작품 '생명의 그물-아치'를 감상했다. 김 작가는 "지하 주차장을 너무 싫어해 어두운 공간에 보석처럼 반짝반짝 빛나는 종유석 같은 형태의 작품을 구상했다"고 털어놨다. 여러 개의 막대를 쌓아 만든 이 작품은 옆에서 보면 수평의 연속으로 여겨지나 위에서 감상하면 점들을 연결하는 선처럼 보인다. 김 작가는 "파이프가 맞물리며 유기적인 전체를 이루는 모습은 거대한 그물망 안에 얽혀 있는 개인과 사회, 인간과 자연의 상호 연관성을 표현한다"며 "차가운 쇠파이프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길 바라며 은은한 빛을 더했다. 작품의 막대들이 그렇듯 서로의 손을 마음으로 잡아 주기를 바라고 있다"고 했다.

 

◆옛 서울역 폐쇄램프, 공공미술 플랫폼으로 재탄생

 

옛 서울역 주차램프를 재생해 만든 공공미술 플랫폼 '도킹 서울' 모습./ 서울시

서울시는 2003년 서울역 민자역사와 함께 대형 야외 주차장이 준공되면서 쓸모가 없어진 구 서울역 폐쇄램프의 활용방안을 2년 전부터 모색하기 시작했다. 당초 시는 진·출입로가 이중 나선형으로 분리된 주차램프의 독특한 구조를 살리고 활용성을 높일 창의적인 시민 아이디어를 담아 이 공간을 재생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수정됐다.

 

서울시 공공재생과에서 지역 단위 공공미술 프로젝트 대상지 공모에 이 장소를 제안해 '서울은 미술관' 사업이 작년 1월 첫발을 떼게 됐기 때문이다. 서울은 미술관은 매년 소외된 도시자원 1곳을 발굴해 공공미술 플랫폼으로 바꾸는 프로젝트다. 녹사평역 지하예술정원(2018년), 홍제유연(2019년), 달빛노들(2020년)이 서울은 미술관 사업을 통해 재탄생한 공간이고, 올 10월 개장한 '도킹 서울'이 그 네번째 작품이다. 사업 기간은 작년 1월부터 올 7월까지 총 19개월이며, 8억97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도킹 서울은 2020년 10월 개통한 공중보행길을 통해 서울로7017과 이어진다. 시는 도킹 서울 개장으로 만리동광장에 설치된 '윤슬', '서울로미디어캔버스'가 연결돼 일대가 지붕 없는 미술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시 관계자는 "개장 후 하루 120명 이상이 도킹 서울을 방문하고 있다"며 "향후 집객률이 늘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