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금융위기 시그널과 방심

구남영 기자.

역사를 되돌아보면 커다란 금융 위기가 벌어지기 전 분명 시그널이 있다. 당시에는 대수롭지 않게 넘어갔지만 지금와서 되짚어보면 금융위기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과 속설이 있었다.

 

월가는 경기침체 공포가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 퍼진 가운데 올해 월드시리즈를 앞두고 노심초사했다. 역대 월드시리즈에서 필라델피아 필리스가 우승한 해엔 경기침체가 왔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필라델피아 필리스가 월드시리즈에서 우승하면 경제위기에 대비하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필라델피아와 경기침체의 악연은 192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현 오클랜드 애슬레틱스)가 우승한 1929년 10월 뉴욕증시가 대폭락하는 '블랙 먼데이' 사태가 벌어졌고, 1930년 세계 경제를 파탄으로 몰아넣은 대공황이 미국을 강타했다.

 

그리고 필리스 창단 이후 첫 우승을 한 1980년, 또 한 번 경기 침체가 찾아왔다. 그해 엔 폴 볼커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과격한 금리 인상과 맞물려 경제는 큰 위기에 직면했다.

 

이어 2008년 두번째 월드시리즈에선 100년 역사의 리먼브러더스의 파산으로 전 세계 금융위기가 덮치며 한국 증시도 900선까지 추락했다. 필라델피아와 경제위기는 이렇게 3번이나 맞아 떨어졌다. 불행 중 다행인지 필라델피아는 이번 시리즈에선 우승을 놓쳤다.

 

우리나라의 큰 위기를 되짚어 보면 1997년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다. 그해 외환위기는 은행들이 해외에서 빌린 '달러'를 갚지 못해 시작됐다. 지금은 국내 달러 보유액은 부족하지 않은 상태다. 그러나 또 다른 금융위기 시그널이 연달아 발생하고 있다.

 

지난주 '코인판 리먼 사태'가 터진 것이다. FTX의 부채규모는 66조원으로 가상화폐 업계 사상 최대 파산규모다. 여기에 가파른 금리 인상과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를 계기로 부동산 PF대출의 도미노 부실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정부가 "안전하다"고 외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곳곳에서 울리는 경고음을 무시하지 않고 국민들의 오판을 없애야 한다. 20여년 전 외환위기 직전에도 정부는 "펀더멘털은 튼튼하다"고 했었다. 또 같은 상황에 직면하지 않으려면, 정부가 객관적인 자료를 밝히고 빠른 조치와 함께 국민들을 안심시켜야 할 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