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박승덕의 냉정과 열정사이] '관치'와 '내치'

영화 '남산의 부장들'에서 대통령은 심복에게 이렇게 말한다. "임자 하고 싶은대로 해. 임자 옆에는 내가 있잖아." 절묘한 통치다. 일이 잘되면 자신의 공이다. 하지만 잘못되면 심복의 무리한 선택이고, 책임이다. 윤석열정부는 금융지주사의 회장 연임에 대해 부정적이다. 금융당국 수장이 '임자'로 나선 것은 아닐까. 바꾸려는 '관치'와 연임하려는 '내치'의 힘겨루기가 엿보인다.

 

하지만 누구도 살아있는 권력과 맞서기 힘들다. 정치하는 사람들이 악착같이 정권을 잡으려고 하는 이유다. 기업이나 금융회사도 권력과 척을 지기 어렵다. 정권을 잡은 사람들과 멀어지거나 정책에 반대하면 사업이 쉽지 않다. 정치와 기업 간에 반복됐던 '학습효과'도 있다. 권력은 잘 되게도 하지만 안되게 하는 수단을 많이 갖고 있다. 그것이 권력을 두려워 하는 이유다.

 

최근 금융지주사 회장 교체가 화두다. 권력을 잡은 쪽의 '보이지 않는 손'이 움직이고 있다는 느낌이다. 신호탄은 NH농협금융지주였다. 실적에 비춰보거나 관례상으론 손병환 회장의 연임이 확실했다. 하지만 결과는 교체였다. NH농협금융 임원후보추천위는 최근 심층 면접 진행 후 위원 전원 만장일치로 차기 회장 후보를 확정했다. 신한금융지주도 조용병 회장이 심층면접 직전에 용퇴를 결정하면서 진옥동 신한은행장이 단독 추천됐다. 신한금융은 전체 사외이사 투표 결과 진 신한은행장이 만장일치로 임기 3년의 회장 후보로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농협금융과 신한금융의 공통점은 '만장일치'다. 임추위·회추위 위원인 사외이사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였다는 방증이다. 누군가 확실한 시그널을 보내지 않았다면 이 같은 우연의 일치가 가능할까. 보기 힘든 만장일치다.

 

그래서일까. 금융지주 회장 연임과 선출을 앞둔 우리금융지주와 BNK금융지주에 금융권의 관심이 쏠린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은 연임 도전을 두고 장고에 들어갔다.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손실 사태와 관련해 금융당국으로부터 받은 중징계 취소 소송에서 최종 승소했지만 라임펀드사태와 관련해 금융당국으로부터 중징계(문책경고)를 받았다. 연임을 위해선 또다시 징계가 부당하다며 소송으로 맞서야 한다. 이복현 금감원장이 "현명한 판단을 할 것"이라고 말한 터다. 현명한 판단은 무엇일까. '연임을 꼭 하셔야 하나요'가 아닐까. 그렇다고 그냥 물러나기엔 억울하다. 또 법적 소송을 포기하면 라임펀드사태와 관련해 업무상 배임의 소지도 있다. 딜레마다. 조직과 자신의 안위를 위한 선택은 무엇일까. 1개월 안에는 결정을 내려야 한다. 주변 참모들은 십중팔구 직진을 강조한다. 소송과 연임 도전이 수순이라고. 하지만 권력과 맞서지 않고 자존심을 지키는 시나리오도 있다. 징계에 대한 부당함을 소송으로 맞서고, 용퇴하는 방안이다. 결정은 손 회장의 몫이다.

 

BNK금융지주도 김지완 회장이 임기를 남기고 사퇴하면서 차기 회장 선출을 위한 임추위가 가동 중이다. 자회사 최고경영자(CEO) 9명과 외부인사 9명이 도전장을 내민 것으로 전해진다. 결국 내부 인사냐 외부인사냐다. BNK는 연임 상황이 아니다. 내부인사로 결론날 수도 있다. 하지만 내부싸움이 외부에 알려진 것이 걸림돌이다. 또 사외이사가 만장일치로 움직인 NH농협금융과 신한금융을 반추해 보면 '강력한' 외부인사 낙점도 배제할 수 없다. 시장에선 벌써부터 루머가 나돈다. 우리금융은 A씨, BNK금융은 B씨가 차기 회장으로 유력하다는 설이다. 과연 우리금융과 BNK에서도 사외이사들의 만장일치가 가능할까. 결국 사외이사들의 판단과 결단이 차기 회장 선출의 포인트다. 권력을 두려워 하느냐, 마느냐다. /금융부장 bluesky3@metroseoul.co.kr

 

박승덕 부장.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