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가지 질문에 답해보자.
첫번째. 비싼 와인은 맛있다? 두번째. 싼 와인은 맛이 없다?
첫번째 질문엔 '예스(Yes)'라는 답변이 더 많을 수밖에 없다. 친한 지인들이 맛있는 와인 좀 추천해달라고 하면 농담삼아 이렇게 말한다. "와인샵 가서 비싼거 사세요. 와인은 비싸면 맛있어요."
비싼만큼 일정 수준 이상의 맛은 보장되겠지만 그 가격만큼 값어치를 할지는 또 다른 문제다. 50만원, 100만원 짜리 와인을 마시면 역시 기본급 와인과는 확연히 다르겠지만 그 차이가 몇 십 만원 만큼은 아닐 수 있다. 비싼 와인을 선보이는 자리에서 보면 감탄사 만큼이나 실망스럽다는 반응도 같이 나오는 이유다.
그럼 두번째 질문 역시 '예스'로 답할까. 의외로 '노(No)'라고 하는 이들이 더 많다. 이미 싼 가격이 머릿속에 각인되어 가성비 계산도 나왔겠지만 신대륙의 훌륭한 기후조건과 나날이 발전해가는 양조기술 덕분이다. 한 상 차린 자리에 곁들이기도, 아니면 하루의 피로를 씻으러 한잔씩 홀짝거리기에도 아쉬움이 없을 와인들이 너무나도 많아졌다.
와인스펙테이터가 가성비 와인 가운데서도 가격 이상의 만족을 주는 '밸류(value)' 와인들을 골라냈다. 100점 만점 기준에서 90점 이상의 평가를 받았고, 가격은 40달러(원화 약 5만원) 이하가 기준이다. 물론 우리나라로 수입되면 세금에 제반비용까지 더해져 가격이 좀 뛰긴 하겠지만 그래도 가성비 매력은 여전하다.
1위는 미국 나파밸리 와인으로 '보리우 빈야드 나파밸리 카버네소비뇽 2019'이다. 보리우 빈야드는 나파밸리에서도 가장 오래되고 유서깊은 와이너리 가운데 한 곳이다. 1900년에 포도밭을 사들이면서 시작됐으니 말이다. 전설적인 와인메이커 안드레 첼리스체프를 영입하면서 보리우 와인은 나파밸리 와인의 정석이라도 불리게 됐다. 가격은 33달러. 나파밸리의 대표품종 카버네 소비뇽이 갈수록 몸값이 올라 세자릿수가 보통인 요즘, 착해도 한참 착한 가격이다. 장기 숙성도 가능해 시음적기가 무려 2030년까지다.
2위는 '디코이 리미티드 나파밸리 레드 2019'로 역시 미국 나파밸리 와인이다. 지역명을 쓰려면 최소 85% 이상의 포도를 해당 지역에서 수확해야 한다. 나파밸리의 포도값을 감안하면 30달러는 인상적인 가격이다. 멀롯과 카버네소비뇽, 말벡 등을 섞어 만들었다.
다음은 이탈리아 와인인 '빌라 안티노리 토스카나 2019'다. 밸류 와인 리스트라더니 와인명가들의 이름이 줄줄이 쏟아져나온다.
1928년부터 생산된 빌라 안티노리는 산지오베제와 카버네소비뇽, 멀롯 등으로 만들었다. 2019년 빈티지가 90점을 받았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대형마트에서 2만원 안팎이면 살 수 있다.
스페인 와인도 이름을 올렸다. '보데가스 마르께스 데 무리에따 리제르바 2018'이다. 무리에따 와이너리의 철학이자 목표인 '우아함, 신선함, 복잡성'을 잘 보여주는 와인으로 평가받았다.
화이트 와인으로는 '조엘 고트 캘리포니아 소비뇽블랑 2021'이, 스파클링 와인으로는 '멈 나파 브뤼 프레스티지 NV'가 꼽혔다. 가성비 하면 빠질 수 없는 아르헨티나 와인으로는 '도메인 부스케 말벡 2021'이 13달러로 최저가를 기록했다.
이밖에 '켄달젝슨 소노마 카운티 빈트너스 리제르바 멀롯 2019', '몬테니어 윌라메트 밸리 피노누아 2019', '조셉 드루앙 보동 샤블리 2020' 등이 최고의 밸류와인으로 10위 안에 들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