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131) 백제 숨결 간직한 서울의 하천 '성내천'

6일 오후 한 시민이 성내천 자전거길에 설치된 벤치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과거 우리 선조들은 '치산치수'(治山治水)를 국토 관리의 요체로 삼았다. 산과 물을 다스려 산사태나 홍수 같은 재난을 막는다는 뜻으로, 하천도 신경 써서 다뤄야 할 대상 중 하나였다. 맑은 날에는 아름다운 자연을 누릴 수 있게 해주지만, 큰비가 내려 하천 수로가 범람하면 돌이킬 수 없는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하천법은 '지표면에 내린 빗물 등이 모여 흐르는 물길로서 공공의 이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국가하천 또는 지방하천으로 지정된 것'을 '하천'으로 정의하고 있다. 하천 가운데 규모가 큰 것은 '강', 작은 것은 '천'으로 부르며, 서울에서는 유량이 가장 많은 한강을 제외하고는 모두 '천'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하천의 A to Z를 다룬 책 '서울의 하천'에 따르면, 물의 양이나 유로(물이 흘러가는 길)의 길이, 유역(하천에 흐르는 물의 근원이 되는 비나 눈이 내리는 전 지역)의 넓이 등을 종합해 가장 유력한 것을 본류라 하고, 본류에 합류하는 물줄기를 지류 또는 지천이라고 부른다. 서울의 경우 한강이 본류이고, 성내천·중랑천·홍제천·안양천·탄천 등이 지류에 해당한다.

 

◆도심 속 명품 산책길

 

지난 6일 오후 한 시민이 성내천 자전거길에서 산책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지난 6일 오후 성내천을 찾았다. 지하철 2호선 잠실역 7번 출구 앞에서 4318번 버스를 타고 7개 정류장을 이동해 '풍성중학교·잠실올림픽아이파크' 정거장에서 하차해 몽촌 2 빗물펌프장을 지나 성내천 산책길로 이동했다.

 

서울역사편찬원에 의하면, 한강의 제1지류인 성내천은 남한산성의 청량산에서 발원해 2km의 급경사 산간 계곡을 따라 북서쪽으로 흘러내리면서 서울 송파구 마천동을 거쳐 올림픽공원의 몽촌토성을 돌아 잠실철교 부근에서 한강으로 유입되는 준용하천이다. 성내천 전체의 유로 연장은 9.77km, 유역 면적은 33.56㎢이며, 평균 하폭은 70m다. 풍납리토성 안쪽의 성내리라는 마을을 관통하는 물줄기라서 성내천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서울역사편찬원은 "성내천 일대는 고대 백제의 도읍지로서 몽촌토성, 방이동 고분군 등 문화유적과 백제인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는 유서깊은 곳"이라며 "조선 시대부터 행정구역상 광주에 소속된 지역이었으나 1963년 1월1일부터 서울시에 편입되면서 성내천도 시 관할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달 6일 오후 한 어르신이 성내천 자전거길 인근에서 냉이를 캐고 있다./ 김현정 기자

이날 오후 시민들은 분홍 진달래색이 입혀진 성내천 산책길에서 일행과 담소를 나누며 이른 봄의 푸근한 날씨를 즐겼다. 성인 3명이 옆으로 나란히 걸으면 꽉 찰 정도로 좁다란 산책로의 우측 경사지에는 수목이 식재된 잔디밭이 펼쳐졌다. 지난 겨울 묵은 갈색 잔디 틈새로 초록빛 새싹이 돋아나고 있었다.

 

6일 오후 청둥오리 한 무리가 성내천에서 헤엄치고 있다./ 김현정 기자

경보를 하며 호젓한 오솔길을 무심하게 지나가던 동네 주민도 자연의 푸르름이 반가웠는지 걸음을 멈추고 스마트폰으로 새로 난 잔디 사진을 찍었다. 산책길 왼편에는 나무 울타리가 쳐졌고, 그 뒤로 성내천이 흘렀다.

 

인근 공사장의 토사가 유입돼 하천의 물은 흙탕물에 가까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름 틈새로 비치는 햇살로 인해 윤슬이 눈부시게 반짝였다. 서울시내 하천 어디에서나 흔히 볼 수 있는 청둥오리도 이날 성내천에서 목격됐다. 오리들은 물 위를 둥둥 떠다니며 한량처럼 여유를 만끽했다.

 

◆수변활력거점으로 재탄생

 

지난 6일 오후 시민들이 잠실철교 밑에서 진행되는 공사를 구경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잠실파크리오 3단지아파트에서 신천빗물펌프장 방향으로 성내천 산책길을 쭉 따라 걸으면 낮은 다리 2개가 나온다. 신천1교와 신천2교 일대에서는 성내천을 자연형 생태하천으로 되돌리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성내천 복원 공사는 오는 5월까지 완료할 예정이라고 송파구는 전했다.

 

6일 오후 청둥오리 한 마리가 바위에 가로 막혀 성내천에서 한강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신내천은 잠실철교 밑에서 한강으로 흘러들었다. 하천의 물색은 거대한 강에 이르러서야 잿빛에서 푸른빛으로 바뀌었다.

 

이달 6일 오후 송파구 잠현초등학교 앞에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서울시는 현재 시내를 흐르는 332km의 소하천과 실개천에 '수변활력거점'을 조성하는 내용으로 '수변감성도시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다. 25개 전 자치구에 1곳 이상의 수변활력거점을 만들어 오는 2025년까지 총 30개소를 수세권으로 재편한다는 계획이다.

 

대상지 가운데 한 곳인 송파구 성내천에서는 연내 착공을 목표로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기본 및 실시설계가 이뤄지고 있다. 시는 올 12월부터 2024년 6월까지 35억원을 투입해 성내천에 노을·전망 명소 공간을 조성할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