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박승덕의 냉정과 열정사이] 균형 맞춘 관치와 내치

윤석열정부 출범 이후 NH농협금융지주를 비롯해 신한금융지주, BNK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등 4곳의 차기 회장이 바뀌었다. 관치(官治)와 내치(內治) 진영이 각각 2곳으로 균형을 이뤘다.

 

최근 전직 고위 금융인을 만나 지주 회장 선임 결과에 대해 물었다. 그는 대뜸 이번 정부는 소유분산기업(사실상 주인이 없는)의 회장이 우호세력을 주변에 두고 여러 번 연임하는 행태를 달갑지 않아한다고 했다. 관료 출신이 지주 회장 자리에 오른 배경에 대해 묻자 '쿠데타를 제외하고, 반란군이 관군(官軍)을 이길 수 없다'고 했다. 이미 짜여진 판이었다는 의미로 이해했다. 그리고 지난 2021년 4월에 출간된 '경제정책 어젠다 2022'를 읽어봤냐고 물었다. 윤 대통령의 '경제 선생님'인 그 책의 저자들이 전면에 부상했다는 설명과 함께.

 

온라인으로 책을 주문했다. 우리나라 경제를 살리는 시스템이 무엇이고 어떻게 도입해야 하는지를 정리한 책이었다. 변양호 VIG파트너스 고문, 김낙회 전 관세청장, 이석준 전 국무조정실장,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 최상목 전 기획재정부 차관(당시 농협대 총장) 등 관료출신이 함께 집필했다. 대한민국 경제시스템의 발전적 방향과 과제, 그리고 그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그가 주목하라고 한 저자 가운데 적어도 3명의 명함은 새 정부 출범 이후 바뀌었다. 최상목 전 기재부 제1차관은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이다. 이석준 전 기재부 제2차관은 NH농협금융지주 회장에 취임했다.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도 이번달 우리금융그룹 차기 회장에 취임한다. 모두 음으로 양으로 윤 정부 출범에 기여한 사람들이다. 책 출간 당시 그들은 새 대통령이 이 책을 읽어 볼 것을 권유했지만 사실상 보수 정권의 출범을 도왔다. 아슬아슬한 승부였지만 보수쪽이 정권을 잡았고, 책을 쓴 저자들이 부각되고 있다.

 

그들은 이미 책을 쓸 때부터 정권 교체를 예언했는 지 모른다. 그리고 금융지주 회장의 임기와 맞물려 그 자리를 눈여겨 봤을 터. 관직보다 금융지주 CEO를 픽한 것은 신의 한수다. 임기가 다가온 4개 금융지주사의 CEO를 관료출신이 모두 차지하면 '너무한다'는 말이 나올 것이 자명했다. 모든 금융지주사의 연임을 저지하고, 적당히 2곳의 수장 자리를 차지했다. 2곳은 내부 출신이 맡았다.

 

지주 회장 교체에 대한 복선은 이미 지난해 11월부터 깔렸다. 당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금융사 CEO 선임 시에는 이사회 절차 자체의 투명성 내지 합리성, 후임자 물색 과정 등 국민적 눈높이에 맞는 기준이 있을 필요가 있다"고 했다. 지주사 회장의 연임에 반대한다는 의미였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작년 12월 "무조건 관치는 나쁘고 외압이 있는지 없는지도 잘 모르겠지만 그렇게 (관치와 외압을) 일률적으로 판단하는 일은 맞지 않는다"고 했다. 지주사 회장 선임 과정의 '관치논란'에 대한 답변이었고, 이는 관료 출신 금융지주사 회장이 탄생할 것이란 예고편으로 다가왔다.

 

4곳의 금융지주사 CEO가 내치와 관치, 2대(신한·BNK금융) 2(농협·우리금융)로 균형을 맞추면서 그들의 향후 행보가 중요해졌다. 내부출신, 외부출신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유지하면서 조직을 쇄신해야 하는 과제를 안았다. 실력과 리더십에 따라 승부가 가려질 게 분명하다. 과연 '관치'가 나쁘기만 한 것인 지, 때론 조직을 쇄신하는 기폭제로 작용하는 순기능을 하는 지. 결과에 따라 무게추가 한쪽으로 기운다. 과연 이 승부에서 관치와 내치 가운데 누가 이길까. /금융부장 bluesky3@metroseoul.co.kr

 

박승덕 부장.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