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수도권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비중 다시 늘어

-전세 거래 비중, 월세 다시 추월
'역전세' 현실화...전셋값 2년 전보다 떨어져
“수도권 연립다세대 전셋값 약세 계속될 것”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뉴시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의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 비중이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셋값 하락과 함께 상대적으로 낮아진 금리 등으로 전세보증금 마련을 위한 금융 부담이 줄어 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5일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 전세 거래비중이 50%까지 떨어지면서 지난 2011년 전월세 실거래가 발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으나, 올해부터 다시 전세 거래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지난 1월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량이 월세 거래량과 비슷한 수준으로 줄었지만, 2월부터는 다시 전세 거래가 늘어나면서 전세와 월세 거래량 차이가 다소 벌어지고 있는 것.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전세 거래량 비중은 지난해 12월에 49.7%로 월세 거래량 비중(50.3%)에 뒤처지기도 했지만 올해 1월 이후 전세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인천은 지난해 12월에도 53.1%로 여전히 전세 거래량 비중이 월세 거래량 비중에 비해 높았으나, 2017년 2월 이후로 가장 낮은 비중이다. 경기 전세 거래량 비중은 지난 1월에 49.0%로, 월세 거래량 비중(51.0%)에 역전을 당했다.

 

수도권 지역의 전용면적 3.3㎡당 평균 전셋값을 2년 전 동일 시점의 평균 전셋값과 비교했을 때 두 가격 간의 차이는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1년 1월 서울지역 연립다세대 전셋값(563만원)이 2년 전 가격(452만원)에 비해 3.3㎡당 111만원이나 높았는데 지난해 10월(560만원)에는 2년 전 가격(539만원)에 비해 3.3㎡당 21만원 높다. 올해 2월에는 평균 550만원에 거래되며 2년 전보다 4만원 낮은 가격을 기록했다.

 

수도권 연립다세대 2년전 전용면적 3.3㎡당 평균가격 대비 시점별 변동가격 월별 추이./직방

인천은 지난 2021년 1월 2년 전 가격보다 3.3㎡당 59만원이 높았으나, 지난해 10월에는 평균 230만원으로 2년 전 거래가격인 221만원보다 9만원 높다. 같은 기간 경기 지역의 경우 가각 75만원, 22만원 높았다.

 

반면, 지난해 11월 인천 전셋값이 평균 224만원으로 2년 전 평균 가격인 232만원보다 3.3㎡당 8만원 더 낮은 금액으로 거래돼 평균 거래가격이 내려갔다. 경기 지역 평균 전셋값은 지난해 12월에는 313만원으로 2년 전 평균 가격(321만원)보다 3.3㎡당 8만원 낮은 금액에 거래됐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전세거래가 주춤했던 지난해 4분기에는 전세 거래보다는 월세 거래가 늘면서 전·월세 거래비중이 1대 1 수준까지 갔지만 올해부터는 다시 전세 비중이 커지는 중"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