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김준형의 '청맹과니'] 선생님 접니다

image

'선생님 접니다.'

"센세이, 와타시데스. 아노 '다이주'데스요."(선생님, 접니다. 대중입니다) 1998년 10월 7일, 일본을 국빈 방문한 김대중 대통령이 목포상고 시절 담임 선생님이셨던 '무쿠모토 이사부로' 선생님께 전화를 걸어서 한 말이다.

 

당시 한일 관계는 험악했다. 일본에서는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는 망언들이 끊임없이 나왔고, 이에 김영삼 대통령은 '버르장머리를 고쳐놓겠다.'고 강경대응했다. 양국 국민들의 감정의 골도 깊어갔다. 이런 상황에서 대통령은 먼저 은사님께 전화를 걸었던 것이다. 일본 정부는 대통령을 배려해서, 무쿠모토선생님을 영빈관으로 모셔왔다. 이 때 대통령도 70이 넘은 나이였지만, 선생님 앞에서는 웃음을 가득 띤 채 천진난만한 학생으로 돌아가 있었다. 이 모습은 일본 방송에 그대로 송출되었다. 그리고 시대와 국경을 초월한 사제 간의 정은 일본 사람들의 마음도 녹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루어 진 것이 '통절한 반성과 마음에서의 사죄'로 기억되는 '김대중-오부치 선언'이다.

 

이렇듯 사제지간의 정이란 것은 보통의 인간관계와는 다른 특별한 감정이다. 일본 사람들이라고 해서 다를 것이 없다. 그들에게도 스승이 있고, 애틋한 감정이 있을 것이다. 은사님을 찾는 한국 대통령의 모습을 보면서, 그들 또한 깊은 동질감을 느꼈으리라. 이런 동질감이 역사를 만든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시대가 변했다. 스승의 권위는 땅에 떨어졌다. 선생님들은 이를 악물고 교단을 지켰지만, 이제는 한계다. 얼마 전 서이초등학교 사건이 터졌고, 이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몇몇 선생님들의 극단적인 선택이라는 비보가 이어졌다. 사태가 이렇게 되자, 정치권과 정부에서도 법과 제도의 정비를 서두르고 있다. 그런데 한번 돌이켜 보자. 지금까지 여러 가지 법과 제도의 변화가 있었다. 그렇지만 신기하게도 변화가 있을 때마다 선생님과 제자들의 거리는 점점 멀어져 갔다. 특히 추모집회에서 선생님들이 문제를 제기했던 '아동학대 처벌법'은 분명 문제가 있다. 정상적인 훈육이라고 하더라도, 정서적 학대가 있었다고 주장만 하면, 선생님을 교육현장에서 배제하는 제도를 정상이라고 할 수 있을까? 그리고 이런 말도 안 되는 제도를 악용해서, 교육부 공무원이 '자신의 아이는 왕의 DNA를 가졌다.'며 선생님을 정서학대로 고발한 현실을 우리는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

 

내가 존경했던 선생님께서는 '누구나 열심히 살면, 성공할 수 있다.'고 가르치셨다. 세월은 흘렀고, 이제는 제자들이 장년층이 되었다. 살면서 선생님의 가르침을 한 번도 잊어본 적이 없고, 정말 열심히 살아왔는데, 왜 사는 것은 이리도 힘들까? 그리고 우리 세대가 만든 세상은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열심히 살면, 성공하는 세상'일까? 선생님께 꼭 한번 여쭈어 보고 싶지만, 선생님께서는 이미 저세상으로 가버리셨다.

 

누구나 기억에 남는 은사님이 한분쯤은 있을 것이다. 나 역시 우리 아이들이 나의 은사님들처럼 훌륭하신 선생님을 만나기를 기원한다. 존경하는 은사님들의 가르침은 평생을 지탱해주는 마음의 기둥이 된다. 이런 기둥은 법과 제도가 아니라, 스승에 대한 신뢰와 존경에 의해서만 만들어 질 수 있다. 시대가 아무리 변해도 '학생은 스승의 등을 보면서 성장한다.'는 사실은 절대로 변하지 않는다.

김준형 / 칼럼니스트(우리마음병원장)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