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연료를 대체하는 궁극의 친환경 에너지로 불리는 '수소.'
수소 에너지는 글로벌 탄소중립 트렌드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은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기술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다. '글로벌 에너지 안보'와 '미래먹거리 발굴' 측면에서 수소 산업 선점을 위한 세계 각국의 경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13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개막한 수소 산업 전시회 'H2 MEET 2023'은 첫날부터 관계자와 관람객들로 붐볐으며, 글로벌 기업들의 수소에 대한 열정을 느낄 수 있었다.
박람회 현장에 들어서자 한 트럭이 넓은 공간을 장식해 눈에 띄었다. 이 트럭은 현대차그룹이 현재 추진 중인 수소전기트럭 청소차로 관람객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수소전기트럭 청소차는 압축 중계차로 쓰레기를 담은 뒤 압축을 해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수소로 구동돼 소음과 진동이 없어 한밤중에 이용할 때도 용이하다. 이는 디젤 연료를 사용한 청소차의 단점인 소음과 진동을 크게 줄여 작업자에게 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트럭 내부에 설치된 수소 탱크는 다양한 충돌 테스트, 압축 테스트, 건파이어 테스트, 화염 테스트를 거쳐 안전성을 입증했다.
코오롱그룹은 일반 금속탱크와는 다르게 겉이 실에 감겨진 상용 수소탱크를 공개했다. 이 실은 탄소 섬유인 카본 파이버가 들어가 있으며 화학물질 에폭시를 적신 것이다. 실로 감긴 탱크는 충격이 가해져도 찢어지는 타입이라 폭발 위험이 없다. 만약 찢어진다 하더라도 수소는 빠르게 기화해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금속에 비해 가벼운 것이 장점이다.
이어 수소탱크 옆에 전시된 코오롱그룹의 이온필터 하우징이 눈길을 끌었다. 연료전지 스택은 전기를 만들 때 물과 전기가 나온다. 이 때 이온이 조금이라도 들어오면 스택 속에 있는 백금 부품을 손상시킨다. 이 과정에서 이온필터 하우징은 이온이 들어오는 것을 막고 백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수소를 채우고 스택에 공급해 작동한다.
한화그룹은 ㈜한화, 한화에너지, 한화솔루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한화임팩트, 한화파워시스템 등 7개 계열사가 참여해 청정수소를 생산·저장·운송해 수소발전소와 수소연료전지까지 활용하는 통합 공급망을 선보였다.
㈜한화, 한화에너지, 한화솔루션, 한화임팩트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얻는 수전해 기술을 전시한다. 한화솔루션은 수소를 안정적으로 저장·운송하기 위한 고압 탱크를 공개하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오션은 도심항공교통(UAM) 등에 적용할 수 있는 100킬로와트(㎾)급 경량형 수소연료전지와 수소연료전지 체계를 탑재한 3000톤 급 잠수함 모형을 각각 배치했다.
포스코홀딩스는 오만 그린수소 생산 프로젝트 모델을 공개했다. 이를 통해 암모니아 합성 플렌트, E-Fuel 생산, HBI 플랜트 등의 모델을 전시해 구체적인 시각적 정보를 제공했다. 이번 오만 프로젝트의 부지는 서울시의 반 정도 되는 면적을 차지하는 규모로 한국과 같이 부지 부족 문제에 직면한 상황에서 포스코가 광활한 부지를 확보한 것은 큰 강점이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현재는 예상 만큼 신재생 에너지원이 풍부한지를 측량하는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년 정도의 측량을 거쳐 구체화한 뒤 수전의 기술을 활용해 수소를 생산할 것이다"고 설명했다.
강남훈 H2 MEET조직위원장은 "수소생산, 유통, 활용 등에서 균형 있게 나아갈 것이며 청정수소 공급망도 안정적으로 확보해 나가겠다"며 "수소에너지 전략 분야에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수출 상품화를 위해 노력하겠다. 기업 투자를 막는 규제도 선제적으로 방어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강 조직위원장은 "우수한 수소 기업들의 혁신적 제품이 널리 알려지고 활발한 기술 교류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