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BYD, 전기차 판매 1위 비결은 "블레이드 배터리"

BYD 블레이드 배터리 / BYD

중국 전기자동차 업체 비야디(BYD)가 '블레이드 배터리'로 LFP 배터리 업계에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LFP 배터리의 약점으로 지적된 획기적으로 늘리면서 안전성은 물론 에너지 밀도까지 확보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BYD의 블레이드 배터리는 배터리 셀을 칼날(Blade)처럼 생긴 길고 평평한 모양으로 제작하고 모듈이라는 중간 과정을 없애고 배터리팩에 바로 담는 CTP(Cell-to-Pack) 방식을 활용해 공간을 크게 절약하고 중량을 최소화한 배터리다. 동일 공간에서 더 많은 배터리를 넣을 수 있어 에너지 밀도 부분을 개선해 LFP 배터리의 약점이었던 주행거리를 향상시켰다.

 

특히 LFP 배터리의 최대 장점인 안전성도 한층 강화했다. BYD는 가장 엄격한 배터리 내구성 시험으로 알려진 못 관통 테스트 결과를 공개해 블레이드 배터리의 안전성을 입증했다. 못이 관통하는 순간 격렬한 폭발과 함께 화재가 발생한 NCM 배터리와 달리, 블레이드 배터리는 화염이나 연기 등 어떠한 현상도 발생하지 않았다. 46톤 무게의 트럭이 배터리 위를 밟고 지나가는 압축 시험이나, 오븐에 넣어 섭씨 300도까지 가열해보는 발화 시험 등의 극한의 테스트에서도 블레이드 배터리는 화재나 폭발로 이어지지 않았다.

 

BYD는 이같은 배터리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난 7월까지 155만4000대를 판매하며 글로벌 전기차 시장 판매 1위를 기록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도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테슬라를 비롯해 폭스바겐, 현대차 등도 LFP 배터리를 채택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LFP을 적용한 '가성비' 전기차 모델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지만 그 저변에는 LFP 배터리 성능의 혁신에 있다는 분위기다. KG모빌리티가 최근 국내 출시한 토레스 EVX도 BYD 블레이드 배터리를 선택했다.

 

BYD 블레이드 배터리 / BYD

한편 BYD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CTP(Cell-to-Pack)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개발한 CTB(Cell-to-Body) 기술은 배터리팩의 상부 쉘과 차체 바닥의 패널을 샌드위치처럼 하나로 통합해 연결하는 기술이다. 배터리 시스템이 차체 전체와 통합되어 더욱 안정적이면서도 럭셔리카 수준으로 견고한 자동차를 완성할 수 있게 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