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2030 엑스포는 부산에서]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한 기업들의 땀방울

2030월드엑스포 유치 부지인 북항재개발지역 종합계획 조감도/북항통합개발추진단

부산이 대한민국의 해양 수도로서 '2030 세계박람회(엑스포)' 개최지의 꿈을 향해 뛰고 있다. 부산엑스포 유치의 가능성이 날이 갈수록 커져가는 가운데 대기업들의 열렬한 지원도 뒷받침 되고 있다. 부산 엑스포 유치 참여 기업들은 개최지 선정까지 부산이 가진 독특한 매력을 전 세계에 알리는 중이다.

 

◆2030 부산엑스포 유치 위해 대기업 도움 필요

 

'지구 197 바퀴'. 기업이 엑스포 유치를 위해 뛴 거리를 모두 합한 거리다. 국무조정실이 지난 9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3개 기업 CEO 및 임직원들이 지난 9월 말까지 이동한 총 거리는 790만 2415km다. 2030 세계박람회 개최지 결정이 두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내 대기업들이 엑스포 유치에 힘을 보태고 있다. 국내 유수의 대기업들이 2030 부산엑스포 유치에 힘을 쏟는 이유는 엑스포 개최가 경제적으로 큰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부산엑스포 유치가 성공할 경우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 효과와 고용 창출, 국가 위상 제고 등 경제적 가치가 상당히 높다.

 

KDI(한국개발연구원)와 대한상공회의소 등의 연구에 따르면 2030 부산엑스포를 유치할 경우 생산유발효과 41조원을 포함해 총 61조원의 경제효과와 50만명의 고용 창출이 가능하다는 전망이다. 또 엑스포가 열리는 오는 2030년 5월부터 6개월간 200개국에서 5050만명이 부산을 다녀갈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한 부가 가치와 기업 홍보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부산엑스포 유치는 정부와의 협력 기회를 열어주며 향후 원활한 기업 운영을 위한 관계 형성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1993 대전 엑스포 행사장 및 부지 전경./ 대전광역시

과거의 사례를 살펴보면, 1993년에 개최된 대한민국 대전엑스포는 세계 108개국과 33개 국제 기구, 국내의 200여개 기업의 참여로 1450만명의 관람객을 유치해 큰 성공을 거뒀다.

 

당시 대기업들이 주요 전시장을 스폰서 했으며 한국IBM과 한국후지쓰가 독립 전시관을 세웠다. 현대자동차, 삼성, 대우 등 국내 대기업 그룹사들은 자동차관, 테크노피아관, 정보통신관을 비롯해 전기에너지관 등의 전시관에 첨단 개발품을 대거 출품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자사 제품과 기술을 국제적으로 홍보할 수 있었다.

 

또한 2012년에 개최된 여수 엑스포에서는 820만명의 관람객을 유치하며 당초 목표 800만명을 초과 달성했다. 국내 대기업들의 기술력을 선보이는 독립 전시관들을 통해 각 기업의 기술력을 강조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높였다. 특히 현대자동차그룹은 여수엑스포에 참가했던 기업의 독립 전시관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며 친환경 자원 순환구조로 인류사회에 기여하는 현대차그룹의 비전을 전달했다.

 

 제레미 리프킨 펜실베니아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지난 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파빌리온 가브리엘에서 개최한 심포지엄에서 "한국은 삼성, SK, 현대차 같은 기업들이 준비돼 있는 나라이며 수십년간 어려운 조건에서도 복원력을 보여준 나라다"라며 "부산 엑스포가 개최될 경우 지구촌에 '한국이 했으니 우리도 한다'는 영감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2030 부산엑스포의 유치를 통해 국내 대기업들은 다시 한번 세계 무대에서 그 역할을 뽐내며 경제와 기술력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지난 9월 서울 세종대로 대한상공회의소 회관에서 열린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 4차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최태원 SK 회장, 2030부산엑스포 홍보 '적극적'

 

2030 부산 엑스포 유치 경쟁에서 돋보이는 기업 중 하나는 SK그룹이다.

 

SK그룹은 부산 엑스포 유치를 위해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중심으로 열정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특히 최태원 회장은 SK그룹 이끄는 동시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며 부산엑스포 민간유치위원장 명함도 있다.

 

최 회장은 10월 한 달 내내 해외 출장을 다니며 부산 유치를 위한 막판 총력전을 펼칠 예정이다. 최 회장은 지난 9월 말 추석 연휴 기간에도 해외 출장길에 나서며 엑스포 유치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SK그룹 차원에서도 부산엑스포 유치 교섭 활동을 전개한다. 이를 위해 SK그룹은 오는 16일부터 18일까지 파리에서 최고경영자(CEO)세미나를 개최해 SK그룹 차원의 유치 교섭 활동을 시작한다. SK그룹이 매년 개최하는 CEO세미나를 올해는 특별히 국제박람회기구(BIE) 본부가 위치한 파리를 선택하면서 최 회장을 비롯한 SK그룹 계열사 CEO들이 모두 나서 부산엑스포 지지에 힘을 보탤 계획이다.

 

최 회장은 지난달 26일 열린 부산엑스포 유치위원회 마지막 회의에서 "엑스포 개최지 발표까지 남은 시간이 짧게 느껴질 수 있지만 본격 레이스는 지금부터 시작"이라며 "심포지엄을 비롯해 10월부터 파리에서 열리는 대형 이벤트에서 한국의 저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지난 7월 제주 해비치 호텔·리조트에서 개최된 제46회 제주포럼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특히 최 회장은 지난 6월 아킬레스건 부상에도 불구하고 엑스포 유치 홍보를 위한 강한 의지를 보여줬다. 최 회장은 부산엑스포 로고가 새겨진 패드를 부착한 목발을 짚고 엑스포 유치의 분수령이 될 BIE 총회에 참석했다. 이를 통해 부산 엑스포 유치 의지를 각인시켰으며 최 회장의 열정과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이 밖에도 SK그룹은 지난 7월 SK그룹이 주간 후원사로 참여하는 미국 뉴욕 '코리안 아츠 위크' 지원에 나서 대한상의 회장사로서 한국을 알리고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한 홍보 효과를 얻었다.

 

또한 최 회장은 지난 4월 주요 남미 국가를 찾아 부산 엑스포 유치 활동을 하고 경제 현안 등에 관한 논의를 비롯해 부산엑스포 유치 지지를 요청했다.

 

SK그룹은 최 회장의 결연한 노력을 바탕으로 부산 엑스포의 성공을 향한 길을 걷고 있다.

 

LG가 프랑스 파리 샤를드골공항에 선보인 부산엑스포 유치 응원 광고/ LG

◆국내 대기업 '2030부산엑스포' 유치 막판 스퍼트

 

국내 대기업들도 2030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막판 노력을 기울이면서 BIE 회원국의 표심을 공략 중이다.

 

LG는 오는 11월 말까지 프랑스 파리, 영국 런던, 벨기에 브뤼셀 등 유럽 주요 도시에서 집중적으로 '2030 부산엑스포'유치 지원 활동을 펼친다. LG의 부산 엑스포 유치지원 활동은 유럽 주요 도시에서 이뤄지며 LG브랜드의 위상을 높이는 브랜드 마케팅의 일환으로도 활용된다.

 

삼성전자는 지난 9월 초 독일 베를린 도심 곳곳에 부산 엑스포를 부각했다. 삼성전자는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23'을 통해 전시장 곳곳에 엑스포 응원 문구를 게재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또한 베를린 공항 등 유동 인구가 많은 주요 동선에서 엑스포 홍보 영상을 상영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부산엑스포를 알리기 위해 K-컬처 아티스트와 함께 '아트카'를 제작했다./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은 부산 엑스포 유치 지원을 위해 특별 제작한 아트카를 BIE 본부가 위치한 프랑스 파리에 내세워 막판 유치전에 힘을 더했다. 현대차의 아트카는 K-컬처 아티스트와 협업했으며 갈매기, 광안대교 등 부산의 주요 상징물을 활용해 감성적이고 컬러풀한 디자인으로 제작됐다.

 

롯데그룹은 지난 9월 롯데뉴욕팰리스의 투숙객 및 방문객의 주요 동선인 홀과 엘리베이터에 부산 엑스포 유치를 기원하는 뜻을 담은 포스터를 비치했다. 또한 객실 내부에 홍보영상을 송출하는 등 호텔 곳곳에서 홍보 활동을 진행해 개최지 선정일까지 부산 엑스포 유치 홍보에 나설 예정이다.

 

포스코그룹도 글로벌 무대에서 2030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노력한다. 특히 포스코그룹은 이차전지소재사업의 핵심인 리튬염호가 위치한 아르헨티나에서 열띤 홍보전을 전개하며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아르헨티나 정부의 지지를 당부했다.

 

대기업 관계자는 "2030 세계박람회 개최지 선정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부산만의 매력을 알려 막판 유치전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