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2023 국정감사]구자근 “드론시장 급성장에도 정부 예산 지원 無”

산업부 예산 지난해 247.7억→올해 149.9억으로 줄어

국회 예산정책처가 2030년 기준 국내 드론산업의 시장규모를 1조5000억원, 세계시장은 약 75조원으로 전망한 가운데, 정부의 드론산업 육성계획에도 중소벤처기업부의 예산 지원이 전무하며 올해 산업통상자원부 예산지원액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

국회 예산정책처가 2030년 기준 국내 드론산업의 시장규모를 1조5000억원, 세계시장은 약 75조원으로 전망한 가운데, 정부의 드론산업 육성계획에도 중소벤처기업부의 예산 지원이 전무하며 올해 산업통상자원부 예산지원액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드론 부품 국산화에도 부품별 국산화율은 60~80%에 달하지만 핵심 부품인 모터와 프롭, 배터리는 크게 떨어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이 예산정책처에 검토 의뢰한 '드론산업 정부지원현황 및 핵심부품 국산화 정책 검토' 자료에 따르면 국내 드론 시장 규모는 2016년 704억원에서 2020년 4945억원으로 성장했고, 국내 드론산업 시장 규모는 2025년 약 1조392억원, 2030년 약 1조4997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세계 드론시장은 2020년 기준 30조5662억원에 달하며, 해외 드론산업 전체시장 규모는 2025년 약 53조222억원, 2030년 약 75조 7635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예산정책처는 분석했다.

 

세계 시장에서 드론의 주요 활용분야는 ▲에너지 ▲건설 ▲교통·창고 ▲농업 순으로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이 드론이 미래산업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드론 핵심부품의 국산화율의 경우, 국내 33개 드론 제조업체가 생산하는 83개 기체의 부품별 국산화율은 60~80% 불과하다. 더군다나 이 중에서 핵심부품인 모터는 1.2%, 프롭은 6%, 배터리는 20.6%다.

 

이에 정부는 드론산업 발전 기본계획 등에 따라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원천·공통기술 및 시장선도기술 개발 등을 추진 중이며, 산업부는 '제 3 차 항공산업발전 기본계획'과 '항공핵심기술로드맵'을 수립해 핵심부품 개발과 표준화 등 관련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연구·개발(R&D)를 지원 중이다.

 

하지만 실제 예산정책처가 산업부의 드론사업 관련 예산지원액을 분석해보니 2017년 34억4000만원, 2018년 49억5000만원, 2019년 84억1000만원, 2020년 193억7000억원, 2021년 265억8000만원, 2022년 247억7000억원에 불과하며 올해는 149억9000억원으로 오히려 감소했다.

 

또한 중기부에서는 구 의원실에 제출한 답변자료를 통해 "별도의 드론산업 관련 예산 및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지 않으며, 드론 관련 산업에 대한 별도의 정책도 마련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구 의원은 "드론이 미래 핵심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지만 정부의 예산지원은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며 "우리나라도 전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핵심부품 국산화를 비롯해 드론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