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안상미 기자의 와이 와인]<214>전국 콜키지 무료?…주류반입 시대를 기다리며

<214>주류반입비 논란

 

안상미 기자

#. "이 맥주 좀 시원한 것으로 바꿔줄 수 없을까요?"

 

"상온 맥주를 찾는 손님들이 더 많다보니 우리 식당은 아주 차가운 술은 없습니다. 맞은 편에 편의점 보이죠? 저기 맥주 시원한거 있어요. 사다 드세요."

 

#. "여기 와인이랑 위스키 콜키지 얼마에요?"

 

"없습니다. 저희는 주류를 불문하고 술은 반입이 안됩니다."

 

한 곳은 중국, 다른 한 곳은 한국이다.

 

요즘 술자리에 가기 전엔 '콜키지'가 얼마인지 묻는게 일이다. 식당이 100곳이라면 콜키지 방식도 백가지다. 안 받는 곳도 있다지만 여전히 드물다. 인당, 또는 병당 몇 만원부터 최근엔 시간당으로 가격을 책정한 곳도 있었다. 고급 레스토랑이나 호텔의 경우 업장 판매가의 몇 퍼센트, 또는 십만원대를 부르는 곳도 있어 원성을 샀다. 아예 주류는 반입 불가를 원칙으로 하는 곳도 많다.

 

중국 저장성의 한 호텔에서 주류 반입비를 부과한 것에 대해 부당성을 지적하는 글이 올라왔다. 요구한 주류 반입비는 중국 위안화 50원, 한화로 치면 약 9100원이다. /바이두 갭쳐

전국, 어느 식당이나 콜키지 무료. 이런 곳이 있을까. 있다. 중국이다.

 

자타 공인 술꾼으로서 술 배송([안상미 기자의 와이 와인]<211>술 18분 배송의 추억) 못지 않게 중국이 그리워질 때는 바로 식당에 술을 가져가고 싶을 때다.

 

먼저 콜키지라는 말부터 바꿔야겠다. 콜키지란 와인의 '코르크'에 비용을 뜻하는 '차지(charge)'를 더한 말이다. 보통 호텔이나 음식점에서 고객이 가지고 온 주류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대가로 받는 요금을 뜻하는데 국립국어원은 대체할 쉬운 우리말로 '주류 반입비'를 선정한 바 있다.

 

중국의 경우 부러 묻지 않아도 주류 반입비가 없는 것이 상식이다.

 

자기 술을 가져갈 수 있는게 일반적이라지만 처음엔 뭔가 어색한 나머지 스스로 제한을 뒀다. 그 식당에서 파는 술은 가져가지 않거나 아니면 맥주나 싼 술은 식당에서 시켜먹는 다든지 말이다. 맥주를 '주류반입'할 생각은 차마 못하고 있던 일행들에게 종업원이 편의점에서 사다 먹으라고 한 것은 그야말로 신선한 충격이었다. 그리고 나서 보니 특히 대여섯명 이상 단체로 온 경우는 근처 대형마트에서 캔맥주까지 바리바리 들고와 마시는 것이 보였다. 백주나 와인은 뭐 말할 것도 없었다.

 

공짜니 물론 서비스도 기대하면 안된다. 착석하면서 당당히 술을 가져왔으니 잔을 달라고 말한다. 그러면 종업원도 자연스럽게 가져다 준다. 10곳 중 9곳은 투박한 물컵을 사람 수에 맞게 줬다. 내가 꺼낸 술이 와인이든 백주든 말이다.

 

중국도 고급 식당인 경우 주류 반입비를 요구할 때도 있었다. 한 일식당은 와인을 가져왔다니 잔당 얼마를, 한 이탈리안 레스토랑은 병당 얼마를 내라했다. 그런데 와인잔을 안쓴다니 돈을 안받는다. 후자는 와인과 같이 먹을 수 있는 치즈와 살라미를 준비 중인데 필요없다니 낼 비용도 없단다.

 

최근에 중국 저장성의 한 호텔이 주류 반입비를 내라고 했다가 비난에 휩싸였다. 소비자권익보호법에 따라 소비자는 상품을 구매는 물론 사용할 때도 권리를 침해받지 않아야 하는데 술을 가져오는 지극히 개인적인 행동이 보호받지 못했다는 이유에서다. 쉽게 말해 소비자 권리가 침해됐다고 난리가 난거다. 당시 고객이 가져간 와인 2병에 대해 호텔이 요구한 주류 반입비는 중국 위안화로 50원, 한화로 계산하면 약 9100원이었다.

 

전국 콜키지 무료인 중국에서 한국에 진출한 프랜차이즈 식당은 술을 가져가면 비용을 받을까 안받을까. 한국에 들어와있는 한 훠궈 식당에 문의했다. 식당에서 판매하지 않는 주류에 한해서만 비용없이 들고와 마실 수 있단다. 절반은 중국식, 절반은 한국식인가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