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대통령실

尹, 국빈 방문 차 네덜란드 출국… ASML 본사 방문 예정

윤석열 대통령은 11일 네덜란드 국빈 방문을 위해 출국했다. 사진은 네덜란드를 국빈 방문하는 윤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이날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해 공군 1호기 탑승에 앞서 인사하는 모습. /뉴시스(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네덜란드 국빈 방문을 위해 출국했다. 윤 대통령은 국빈 방문 일정 외에 반도체 장비 업체 방문 일정도 소화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경기 성남 서울공항에서 대통령 전용기인 공군 1호기 편으로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으로 출발, 3박5일간의 네덜란드 국빈 방문 일정을 시작했다. 이번 순방에는 부인 김건희 여사도 동행했다.

 

대한민국 대통령의 네덜란드 국빈 방문은 1961년 양국 수교 이후 윤 대통령이 처음으로, 빌럼 알렉산더르 네덜란드 국왕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윤 대통령은 11일(이하 현지시간) 오후 암스테르담에 도착해 동포 만찬 간담회로 순방 일정을 시작한다. 12일 국빈 방문 일정은 공식환영식-전쟁기념비 헌화-국왕 내외와의 친교 오찬-국빈 만찬으로 순으로 이어진다.

 

국빈 일정을 마친 윤 대통령은 같은날 오후 암스테르담에서 자동차로 약 2시간 가량 떨어진 벨트호벤에 있는 ASML본사를 방문한다. ASML은 세계 유일의 극자외선(EUV)노광장비 생산기업이다. 윤 대통령의 ASML본사 방문에는 네덜란드 국왕도 함께 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현 SK그룹 회장도 동행한다.

 

윤 대통령의 ASML 본사 방문은 양국 교역의 핵심 분야가 반도체 사업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지난해 한-네덜란드 교역액은 역대 최대치인 21조원(약 160억달러)를 달성한 바 있다.

 

특히 ASML이 생산하는 극자외선 노광장비는 첨단 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인 장비다. 윤 대통령은 앞서 ASML 최고경영자(CEO)인 피터 베닝크 회장과 두 차례 만나 반도체 협력에 대한 심도 깊은 대화를 나눈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이번 ASML 방문에서 한국과 네덜란드의 주요 반도체 기업 대표들을 만나 양국 간 반도체 산업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하고, 내년에 출시될 최신 노광장비 생산 현장을 시찰할 예정이다.

 

박춘섭 경제수석은 지난 7일 이에 대해 "이번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다수의 반도체 소재·장비업체들도 함께 방문하는 만큼 양국은 첨단반도체 분야에서 상호 보완적인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고, 반도체 인재 양성과 공동 연구 개발 등 보다 발전된 협력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13일에는 헤이그로 이동해 상하원의장 합동면담을 하고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와의 한-네덜란드 정상회담을 가진다. 정상회담 후에는 공동기자회견도 진행한다. 뤼터 총리와의 정상회담은 윤 대통령 취임 후 네번째다.

 

헤이그는 1907년 만국평화회의가 열린 리더잘이 있는 곳으로, 윤 대통령은 뤼터 총리와 함께 리더잘을 방문한다. 이어 헤이그 리더잘에 있는 이준 열사 기념관도 방문한다. 헤이그는 우리나라와도 역사적으로 관계가 있는 곳으로, 고종은 1907년 열린 제2차 만국평화회의에 이준·이상설·이위종 특사를 파견해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고자 했다.

 

이후 윤 대통령은 암스테르담으로 돌아와 한-네덜란드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한다. 모든 일정을 마친 후 윤 대통령은 14일 오전 귀국길에 올라 15일 성남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