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보험

젊어지는 보험업계...CEO 세대교체 '바람'

손해보험사 CEO, '세대교체' 본격화
삼성·이문화, 메리츠·김중현, KB·구본욱
업계 "변화와 혁신 방점...젊은 인재 등용"

(왼쪽부터) 김중현 신임 메리츠화재 대표, 이문화 삼성화재 대표 내정자, 구본욱 KB손해보험 대표 내정자./각사

보험업계 수장들의 평균 나이가 젊어지고 있다. 세대교체 바람이 불면서 보험사 최고경영자(CEO)는 연임보다 교체가 대세다.

 

2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5대 손해보험사(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메리츠화재·KB손해보험) 가운데 3곳이 수장을 교체했다. 지난달 메리츠화재를 시작으로 삼성화재, KB손해보험이 세대교체를 단행했다.

 

메리츠화재는 지난 11월 20일 새로운 수장으로 '보험통' 김중현 경영지원실장(전무)을 내정했다. 김 대표는 1977년생으로 보험업계 최연소 CEO 반열에 올랐다.

 

김 대표는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2015년 메리츠화재에 입사했다. 자동차보험팀장 및 경영·상품전략실장 등을 두루 역임했다. 내부에서는 김 대표를 리더십과 함께 업무 추진력이 있는 전문가라고 인정한다.

 

메리츠금융그룹은 "핵심 경영진에 젊고 유망한 인재를 적극 등용하는 한편 차세대 그룹CEO 후보로 발탁했다"며 "경영 안정을 도모하는 안정적 CEO승계 프로그램을 도입할 것"이라고 전했다.

 

삼성화재는 지난 1일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개최하고 이문화 삼성생명 전략영업본부장(부사장)을 삼성화재 대표이사 사장으로 내정했다. 이 내정자는 1967년생으로 기존 홍원학 삼성화재 사장(1964년생)보다 3년 후배다.

 

이 내정자는 1990년 삼성화재에 입사해 영업현장 및 스탭 부서를 다양하게 경험했다. 특히 삼성화재와 삼성생명 양사에서 모두 영업전략본부장직을 거친 '전략통'으로 알려졌다

 

삼성화재는 "이 내정자는 보험대리점(GA) 시장 등 변화에 민감한 손해보험업 DNA를 이식해 체질 개선에 일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며 "삼성화재의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공고히 하고 변화·혁신을 위한 조직문화 구축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KB금융그룹은 KB손해보험 대표로 구본욱 리스크관리본부 전무를 선임했다.

 

구 전무는 1967년생으로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1994년 KB손보의 전신인 럭키화재 입사 이후 경영전략본부장, 경영관리부문장(CFO), 리스크관리본부장(CRO) 등을 역임한 재무·전략 분야 전문가다. 구 전무는 경영전략, 리스크관리 등 주요직무 경험을 기반으로 가치·효율 중심의 내실성장을 지속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경영관리 역량을 보유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고객 중심의 핵심경쟁력 강화와 경영효율 우위 확보를 통해 '넘버원 손해보험사'로의 도약을 이끌 수 있는 추진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특히 첫 내부출신 인사와 함께 전무급이 대표로 올라서면서 내부에서도 '깜짝 인사'란 평가가 나온다. 기존 김기환 KB손해보험 대표의 유임 가능성도 거론됐지만 구 전무는 자신보다 직위가 높은 부사장들을 제치고 대표이사직에 올랐다.

 

KB금융그룹은 "세대교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지배구조(거버넌스) 정착과 계열사 핵심인재 발탁을 통한 그룹 인적 경쟁력 강화 및 조직내 활력 제고를 중점에 두고 후보를 추천했다"고 설명했다.

 

연이은 보험사 CEO 교체는 분위기 쇄신은 물론 변화 무쌍한 시장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사들이 변화와 혁신에 방점을 찍은 영향이 있다"며 "분위기 쇄신 및 세대교체 흐름이 있어 그 부분을 피해가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