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자승자박(自繩自縛)

image

 

자기가 만든 새끼줄로 자기 자신을 묶는다는 한자성어다. 자기가 짓고 자기가 받는다는 자업자득(自業自得) 또는 자작자수(自作自受)라는 불교의 대표적인 업의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뜻과도 통한다. 자업자득 자작자수가 자신이 한 좋은 행동이든 불선한 행동이든 양쪽을 다 포괄하는 뜻임에 비해 자승자박은 좋지 않은 마음 씀씀이나 행동으로 인해 스스로 피해가 돌아오는 경우를 가리키니 몹시 부정적인 의미다. 중생살이는 탐진치 삼독으로 가는 세상이기에 돈 명예 권력에 대한 집착으로 정당하지 않아도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취하는 것을 인생의 승자라고 보기도 한다.

 

나쁜 습관도 처음엔 소소하게 시작한다. 바늘 도둑이 소도둑이 되는 과정이다. 속도가 붙은 차를 갑자기 세우려면 급정거의 위험을 감내해야 하듯 어느 정도 진행이 되면 발을 빼려도 빼기가 어렵고 이미 취한 이익의 몇 곱절 또는 그 이상의 대가를 치러야 한다. 오래전 보았던 드라마에서 유독 필자의 뇌리에 남는 한 대사가 있었다. 극중 여주인공은 처음의 청순함을 잃고 불운한 여건으로 한 마디로 막사는 인생이 되어갔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지인이 그런 생활을 청산하고 그만 새로 시작해라 하니 그녀는 대답하길 "처음에 비를 맞을 때는 피하려고 옷깃을 부여잡고 뛰고는 했으나 이미 비를 흠뻑 맞고 나니 이미 젖은 몸인걸요." 석가모니는 작은 습(習)이라도 바르지 않으면 바로 끊으라 했다. 부슬비도 옷 속에 서서히 스며들면 결국 젖어서 축축해진다는 준엄한 실제이다. 때로는 그 결과를 알면서도 유혹을 견디지 못해 일탈에 빠진다. 불교계의 실세로 알려졌던 한 스님이 원인 모를 화재로 생을 마감했다. 그 스님의 법명이 한자는 다르지만, 자승자박 사자성어와 발음을 같이한다. 스스로 옭아맴을 생각해 보게 만드는 아침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