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정유업계, 수익성 악화에...신사업으로 돌파구 모색

SK이노베이션 울산콤플렉스(CLX) 전경 / SK이노베이션

국내 정유사가 국제 유가 영향으로 4분기 수익성에 적신호가 켜지자 친환경 관련 신사업으로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26일 정유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정유사들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사업에 주목하고 있다. 국제유가가 지속 하락세를 보이며 국내 정유업계 4분기 실적 전망도 어두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SK이노베이션의 올 4분기 예상 영업이익은 7434억원으로 전분기(1조5631억원)보다 약 40%이상 감소될 것으로 추정했다. 에쓰오일 또한 4분기 4753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3분기(8589억원)대비 하락세를 기록할 전망이다. GS칼텍스와 HD현대오일뱅크의 상황도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두바이유 기준 국제유가는 지난 22일 79.12달러로 올해 3분기 국제유가 평균 86.63달러로 약 8.6% 하락세를 기록했다. 정유사업은 국제 유가 흐름에 따라 실적 변동 폭이 커 이에 대응해 안정적인 경영실적 유지를 위해 포트폴리오 다각화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원유를 수입하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시차가 발생한다"며 "국제 유가가 하락하는 과정이라면 정유사는 구매 시 지불한 가격보다 싸게 제품을 판매해야 돼 손해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유사들은 수익성 악화를 돌파하기 위해 탄소중립과 친환경 트렌드를 선도할 수 있는 신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그중 데이터센터 열관리 기술인 액침냉각 시스템 및 열관리 솔루션 사업이 미래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의 윤활유 부문 자회사 SK엔무브는 지난 10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협업해 업계 최초로 선박용 ESS액침냉각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GS칼텍스도 액침냉각을 바탕으로 한 열관리 시장에 진출했다. GS칼텍스는 지난 11월 자사 윤활유 브랜드 킥스를 통해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전용 윤활유 '킥스 이머전 플루이드 S'를 출시했다. 에쓰오일도 액침냉각용 윤활유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며 HD현대오일뱅크도 사업 참여를 검토 중이다.

 

정유사들은 친환경 바이오 연료도 사업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기술개발에 집중 중이다. 특히 SAF(지속가능항공유) 시장 성장에 대응하기 위한 목표를 세우고 있다. SAF는 기존 화석연료가 아닌 지속 가능한 원료로 생산한 친환경 항공유다.

 

SK이노베이션은 자회사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을 통해 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한 뒤 바이오 연료 생산 기술을 보유한 대경오앤티 지분을 인수해 사업화를 준비하고 있다. GS칼텍스는 지난 9월부터 대한한공과 협업해 SAF 실증 운항을 진행 중이다. 현대오일뱅크는 대산공장에 연산 13만t 수준의 바이오디젤 설비를 구축하고 내년부터 일부 설비를 수소화 식물성 오일(HVO) 생산설비로 전환해 바이오 항공유를 대량 생산할 계획이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국제유가는 전쟁 등 예측할 수 없는 요인으로 인해 변동성이 매우 크다"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비정유 사업을 확대해 국제유가 변동성에 따른 수익 변동성을 완화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