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숏츠(짧은 영상)가 급부상하고 있는 만큼 'SNS 피로증후군'이 퍼져가고 있다. 짧은 영상을 다수 시청하면서 관련 내용을 모두 이해했다는 착각에 빠지기 쉬울 뿐만 아니라, 과다한 정보 공유로 인해 뇌에 피로감을 높아진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최근 2030세대가 SNS 이용을 줄이고 개인소통 공간에 집중하면서 '도파민 디톡스'가 웰빙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23일 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통계에 따르면 인스타그램의 11월 구글 플레이스토어·애플 앱스토어 합산 국내 월간활성이용자(MAU)는 약 1865만명으로 집계됐다. MAU는 한 달에 1번 이상 서비스를 사용한 이용자 수를 뜻한다. 이용률만 보면 여전히 높은 수치지만 하반기부터 연이어 감소하고 있다. 인스타그램 이용자는 8월 1925만명, 9월 1901만명, 10월 1885만명을 기록했다.
인스타그램 이용자가 감소하는 이유는 2030세대 사이에서 'SNS 피로증후군'이 퍼져가고 있어서다. SNS 피로증후군은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 SNS를 사용하면서 과다한 정보를 공유함에 따라 발생하는 피로감을 지칭하는 신조어다. 특히 자극적인 영상을 시청하면 발생되는 도파민 호르몬은 중추신경계에서 만들어지는 신경전달물질로 행복, 흥분, 쾌감 등을 느끼게 한다. 다만 과도해질 경우 뇌신경계가 퇴화하면서 집중력이 감소된다.
이 때문에 2030세대들은 도파민의 분비를 일정기간 끊는 '도파민 디톡스'에 몰리고 있다. 숏폼 등으로 도파민 분비를 인위적으로 자극하는 스마트폰 콘텐츠 혹은 스마트폰 사용 자체를 줄이는 형태다. 쏟아지는 콘텐츠에 뇌의 피로도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 관련 내용을 모두 이해했다는 착각에 빠지기 쉬운 만큼, 텐츠에 지친 이들이 찾아낸 대안이다.
특히 도파민 디톡스는 뇌의 건강을 되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날로그로 돌아가 스스로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게 한다. 기자도 최근 지인과 도파민 디토스를 위해 'SNS 끊기' 내기를 했다. 실천해보니 스마트 폰이 없었던 아날로그적 삶에서 평소에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 지 떠오려 볼 수 있는 것은 물론, 소비를 할 때 조차 가치지향적 소비를 유도한다. 이를 통해 SNS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 타인의 시선을 의식해 소비를 유발해 왔다는 점도 깨달았다.
올해는 시간 효율성을 극도로 높이려는 트렌드가 각광 받으며 분초를 다투며 살게되는 '분초사회'(시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분초를 다투며 산다)라지만, 디지털 디톡스를 통해 가치지향적 소비를 하는 것은 어떨까. 내가 소비하고 있는 것이 어떤 경험과 시간을 산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소비를 함으로써 사회가 건강을 되찾길 기대해 본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