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보시와 공덕

image

 

복지센터에 해마다 몇천만 원씩 가져다 놓는 사람, 작은 가게를 하면서 억대의 돈을 기부하는 사람이 있다. 살면서 어려운 이웃을 위해 돈을 내놓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뉴스에서 종종 듣는다. 자기도 살기 힘들면서 어려운 사람의 손을 선뜻 잡아주는 사회의 의인이다. 작년에 미국에서는 평생 10조 원의 돈을 기부한 세계적 부호가 세상을 떠났다. 그는 부호이면서 작은 임대아파트에서 살았고 죽기 전까지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했다고 한다. 남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마치 자기 일처럼 생각하는 선행이다.

 

이런 선행은 불교에서 말하는 무주상보시와 같다. 무주상보시는 남에게 베풀었다는 생각조차 하지 않는 것이다. 한 톨의 자만한 마음 없이 온전한 자비심으로 남을 위하는 것이니 진정한 의미의 보시이다. 상담을 청하는 분 중에는 자녀들의 앞날을 걱정하는 경우가 늘 있다. 자녀가 살아가면서 큰 어려움은 없을지 궁금해하고 운세가 잘 풀려나갔으면 하는 마음으로 여러 가지를 묻는다. 그런 상담을 할 때마다 한없는 부모 사랑을 느낀다. 자녀들의 운세는 사실 미래의 일이다. 어떤 일이 벌어진다고 해도 지금 대처할 방법은 딱히 없고 기다리는 것이다.

 

그나마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공덕을 쌓는 것이다. 내가 공덕을 쌓으면 그 공덕은 자녀들의 운세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자녀들에게 닥칠 액운을 막아주거나 복을 끌어 온다. 손쉬운 공덕 쌓기는 내 주변 둘러보기다. 나보다 어려운 사람을 돌아보는 마음이다. 세상에 감동을 주는 기부자들이 공덕의 힘을 바란 것은 분명 아니다. 애틋하고 순수한 마음이 앞섰을 것이다. 그런 사람들처럼 커다란 마음을 내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할 수 있는 만큼의 마음을 내는 것, 그런 마음이 앞길에 원만한 운세를 만들어 줄 것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