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신세철의 쉬운 경제] 공멸이 아닌 공생으로 이끄는 공감능력

'욕망으로부터의 자유'저자 신세철.

[신세철의 쉬운 경제] 공멸이 아닌 공생으로 이끄는 공감능력

 

언제부터인가 혐오와 저주하는 능력을 가진 인사들이 기세등등하면서 자칫 공생이 아닌 공멸의 길로 가지 않을지 걱정된다. 적개심을 부추기는 경쟁에 주력하다 보니 급기야 미성년자가 정치인을 테러하는 극한 상황까지 내몰렸다. 누군가를 배척하려 할수록 감사하는 마음, 그 소중한 감동의 순간을 도망치게 만든다. 더 자주 더 크게 공감하려는 마음가짐을 가지려 노력할 때 공멸의 길에서 벗어나 공생으로 가는 길을 찾을 수 있다. 자신과 상대방을 동시에 망가트리는 시기와 증오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면 상대방을 인정하고 그 입장을 헤아리려는 공감능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사단칠정(四端七情)을 가졌다는 인간에게 노소를 막론하고 가장 소중한 시간은 감동하고 공감하는 순간임을 부정하지 못한다. 먼저, 사단은 타고난 도덕적 능력으로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을 말한다.

 

그중에서도 수오지심(羞惡之心)은 자신의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옳지 못함을 미워하는 곧은 마음 자세다. 시비지심(是非之心)은 남에 앞서서 자신부터 잘잘못을 분별하여 가리려는 정직한 마음이다. 그다음, 칠정은 기쁨(喜), 노여움(怒), 슬픔(哀), 두려움(懼), 사랑(愛), 미움(惡), 욕망(欲) 같은 일곱 가지 자연적 감정을 말한다.

 

역지사지 입장에서 서로를 인정하고 이해하는 공감능력의 바탕은 도덕적 능력과 자연적 감정이 어우러져 형성된다.사람에 따라 다르기 마련인 본성과 감정을 깨우치려 노력하더라도 근원적으로 바꿔가기는 꽤 어렵다. 인간이 탈을 바꿔쓸 수는 있겠지만 소위 타고난 심성과 쌓아온 도덕적 능력, 자연적 감정을 통째로 갈아 끼우기란 어디 마음대로 되겠는가? 허물을 고쳐가는 것은 모르지만, 인성을 근본적으로 뜯어고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각자 타고난 심성과 생각이 다르기에 공감능력 배양 또한 사람에 따라서는 다른 까닭인지 모른다.

 

4대 성인의 가르침이 끊임없이 반복되었어도 인간사회 어디서나 그치지 않고 크고 작은 갈등과 분쟁 그리고 증오가 반복되고 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있는 장면이다. 그래서 성악설도 틀린다고 단정하지 못한다.감사하는 자세가 넓고 깊어질수록 공감과 감동의 순간을 더 자주 맞이하여 더 큰 기쁨을 누리는 길로 들어설 수 있다. 행복이란 자신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미워하는 마음보다 감사하고 감동하는 마음을 끄집어내려 노력할 때 가까이 다가온다. 조그맣더라도 세상에 감사한 마음 고마운 마음을 가지면 마음이 편해지고 하는 일마다 자연스레 풀려감을 느낄 수 있어 가뿐해진다.

 

마음을 열어 세상을 선하게 보려고 노력하다 보면 감사하고 감동할 기회가 저절로 다가옴을 느낄 수 있다. 감동하는 능력은 타고나는지 모르지만, 열심히 연습해야 더 자주, 더 크게 감동할 기회를 얻지 않을까? 공멸이 아닌 공생으로 나아 가는 길이다. 한국경제 성장동력을 높이는 길이기도 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