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설 직전에도 흘러가는 與野 공천 시계… 이번주 '컷오프' 윤곽 나올 듯

여야가 4·10 총선 공천 절차를 단계적으로 밟고 있다. 이번주에 여야 내 현역의원 컷오프(공천배제) 명단의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사진은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에서 선거관리위원회 직원들이 22대 총선 대비 모의개표 실습을 하는 모습. /뉴시스

여야가 4·10 총선 공천 절차를 단계적으로 밟고 있다. 이번주에 여야 내 현역의원 컷오프(공천배제) 명단의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는 전날(3일) 지역구 공천 신청을 마감했다. 지난달 29일부터 엿새간 253개 선거구에 대해 총 847명이 접수를 마친 것으로 집계됐다.

 

공관위는 공천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우선 서류 심사를 진행해 '부적격자'를 가려낼 예정이다.

 

서류에 허위 사실을 기재했거나 윤리위원회 의결로 탈당 권유 이상의 징계를 받은 경우, 2개 이상 지역구에 공천을 중복으로 신청한 후보는 부적격 판정을 받는다. '신(新) 4대악'(성폭력 2차 가해·직장 내 괴롭힘·학교폭력·마약)이나 '4대 부적격 비리'(입시·채용·병역·국적 비리)로 형사처벌을 받은 경우엔 사면·복권을 받았더라도 공천이 원천 배제된다. 이외에도 음주운전, 뇌물, 사기 등의 범죄도 부적격 기준에 해당된다.

 

서류 심사를 통해 부적격자를 걸러낸 공관위는 설 연휴 이후인 오는 14일부터 지역별 면접을 시작한다. 면접은 일주일 내로 마칠 예정이며, 이후 단수 추천, 우선 추천(전략공천), 경선 지역을 발표하고 컷오프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현역의원 컷오프는 면접 점수와 함께 당무감사 결과, 당 기여도, 여론조사 등까지 반영한 '교체지수'를 기준으로 한다.

 

7명의 현역의원이 컷오프될 전망인데, 평가 결과에 따라 이보다 늘어날 수도 있다. 특히 '경선이 곧 본선'인 영남권 등 내부 격전지에서 컷오프가 나오거나, 전략공천 지역 선정 등에 따라 당내 잡음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

 

이럴 경우 당을 떠나 제3지대로 가거나, 무소속 출마를 결심하는 현역의원이 나타날 가능성도 제기된다.

 

국민의힘보다 공천 절차를 일찍 시작한 민주당은 공천 신청자를 대상으로 막바지 면접 중이다. 민주당은 5일까지 예비후보 면접을 진행한 뒤, 오는 6일부터 종합심사 및 공천 대상자 등을 발표한다.

 

민주당은 종합심사 결과 발표에 앞서 '하위 20%'에 해당하는 현역의원들에게 결과를 개별적으로 통보할 예정이다.

 

민주당 당헌에 따르면 하위 20%에 해당하는 경우, 하위 10%는 경선 득표율의 30%를 감산하고, 하위 10~20%는 20%를 감산한다. 하위 10%에 포함되면 사실상 경선에서 승산이 없다는 의미다.

 

이에 하위 10%와 감산 대상자 30여명에 포함될 비명계(비이재명계) 비중에 따라 갈등이 커질 수 있다. 친명계(친이재명계) 원외 인사들이 비명계 현역 지역구에 출마 선언을 한 상황이므로, 비명계 사이에서 '공천 학살'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만약 비명계 의원들이 대거 탈락할 경우 이들이 연쇄적으로 탈당해 제3지대로 넘어가는 시나리오도 거론된다. 이럴 경우 민주당의 원심력은 커지고, 이재명 대표의 리더십도 타격을 입는다. 현역 의원은 아니지만 앞서 검증위 단계에서 탈락한 전병헌·유승희 전 의원은 이미 탈당을 선언해 제3지대 합류를 선언하기도 했다.

 

아울러 현역의원들이 제3지대 정당에 합류할 경우, '기호 3번'을 쟁취하기 위한 '합종연횡'이 벌어질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