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韓 기업, '재생에너지 강국' 호주와 수소 사업 협력 나선다

호주 에너지 기업 산토스가 운영하는 다윈 LNG 터미널 내 이산화탄소 분리 공정을 위한 탄소 포집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사진은 흡수탑 모습 / SK E&S

전 세계가 에너지 전략을 수소에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이 호주와 협력을 통해 선두를 차지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과 수소 생산에 유리한 환경을 갖춘 호주는 국내 기업에 전략적 파트너로 떠오르고 있다.

 

5일 IEA(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글로벌 수소 수요가 지난 2021년 9400만톤에서 2050년 5억3000만톤으로 종가할 전망이다. 또한 전체 에너지 중 수소 비중은 2050년까지 14%로 확대될 것으로 진단했다.

 

특히 호주는 자연 부국으로 수소 생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세계 4위 갈탄 생산국(2015~2015, IEA)이며 천연가스는 국내 석탄, 우라늄 다음으로 매장량이 많은 자원이어서 수소 생산의 규모 확대를 이루기 용이하다. 또한 수소를 생산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기존의 유전·가스전 등의 지층에 매장해 공기 중 배출을 막을 수 있는데, 호주는 이러한 매장 후보지로 적합한 지역이 많다.

 

이 외에도 북아프리카를 비롯한 주요 수출 예상국 중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장 인접한 국가라는 강점도 있다. 상대적으로 적은 운송비가 경제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호주가 수소 수출국으로 떠오르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은 호주와 협력을 넓히고 있다. 주요 협력 형태는 호주의 정부 지원 아래 호주 내 수소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국내로 운송하는 프로젝트 중심의 협력과 수소 관련 기술협력 등으로 이루어진다.

 

SK E&S는 호주 정부와 가스전 프로젝트, 탄소 포집·저장(CCS) 사업 협력에 매진 중이다. SK E&S는 지난 2012년부터 개발에 참여한 바로사 가스전에 이미 상용화된 CCS 기술을 적용해 저탄소 액화천연가스(LNG)를 생산하고, 연평균 약 130톤을 국내로 도입해 블루수소 생산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회사는 이를 통해 LNG 수급 안정과 에너지 안보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포스코홀딩스는 서호주에서 저탄소 철강 원료인 HBI(Hot Briquetted Iron) 생산을 위한 그린수소 생산 사업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회사는 지난 2023년 10월 호주 퍼스에서 프랑스 재생에너지 기업 엔지와 공동조사 합의서를 서명하고 서호주 그린수소 생산 사업 개발을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에 착수했다. 양사는 그린수소 생산을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 부지 확보, 수전해 설비를 비롯한 개발 컨셉 수립 및 호주 정보 자금 프로그램 지원 등에 관한 협업을 수행한다. 또한 포스코그룹은 호주 HBI 생산에 필요한 수소 환원 비율을 확대해 나가고, 2050년까지 호주에서만 수소 생산 200만톤 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러한 기업들의 노력에 더해 정부의 역할은 수소 협력사업의 중요한 측면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한국 정부가 주요국과 호주 간 수소협력사업에 대한 각 정부의 지원정책, 사업 특징 등을 참고하는 것이 국내 수소사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측한다. 특히 일본과 호주는 수소생산 협력이 다른 국가에 비해 일찍 시작돼 진행 단계와 프로젝트 수에서 상당한 진전을 보여주고 있어, 이를 기반으로 한 국내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아울러 한국이 호주와 수소기술 표준 분야 협력 논의를 확대한다면, 한국의 수소 표준인증 선점을 위한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