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신사업 외치는 통신3사…AI 스타트업 확보전 '활활'

/유토이미지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업체들이 인공지능(AI) 분야 스타트업 확보전에 돌입했다. 최근 AI를 중심으로 한 신기술 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6일 ICT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AI 분야 스타트업에 지분 투자나 전략적 협업에 나서며 올해부터 관련 사업을 구체화하고 있다. 최근 유무선 사업이 둔화되자 AI를 중심으로 한 신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몇년 간 5G 가입자 증가폭은 두자리 수에서 한자리로 대폭 줄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월 평균 14%대의 성장률을 보였지만, 지난해부터는 1.5% 까지 감소했다. 9월에는 0.9%로 줄어든 데 이어 지난해 11월에는 1%대로 떨어졌다.

 

이에 업계는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기 위해 기술력을 확보한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늘리고 있다. 주요 협력 분야는 인공지능(AI)이 꼽힌다.

 

먼저 SK텔레콤은 AI 반도체 자회사인 사피온과 협력을 강화해 관련 인프라를 강화하고 있다. 사피온은 지난해 차세대 추론용 AI 칩 'X330'을 공개했다. X330은 경쟁사의 최신 추론용 모델 대비 연산 성능 약 2배, 전력 효율이 1.3배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SK텔레콤은 자회사를 넘어 국내외 AI 기업에도 적극 투자하고 있다. 글로벌 거대언어모델(LLM) 기업인 앤트로픽과 국내 업체들인 코난테크놀로지, 스캐터랩 등과도 투자를 통한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코난테크놀로지와 SK텔레콤은 최근 MOU를 통해 생성형 AI, AI 비전, AICC, AI 데이터로 협력 분야를 구체화했다. 특히 지난해는 SK텔레콤의 AI 비서 서비스인 '에이닷'을 고도화하기 위해 '이루다'로 유명한 '스캐터랩'에 150억원 투자를 단행했다.

 

KT는 지난달 국내 AI 반도체 설계 스타트업 리벨리온의 시리즈B 라운드에 330억원을 투자했다. 향후 리벨리온에서 출시하는 다양한 AI 반도체 라인업을 활용해 AI 인프라·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는 AI 소프트웨어 업체 모레에도 150억원을 추가 투자했다.

 

KT는 또 스타트업과 협력해 특화된 LLM을 개발하는 등 기업 간 거래(B2B)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KT는 국내 AI 스타트업들인 업스테이지와 콴다에 200억원 규모를 투자했다. 업스테이지는 개방형 LLM 분야에 특화된 기업이다. 앞서 생성 AI 미세조정 성능 경쟁에서 '챗GPT' 기반 모델인 GPT-3.5를 제치고 1위에 오른 바 있다. 콴다는 수학 문제 등을 사진으로 찍어 올리면 AI가 정답과 풀이를 제공하는 교육 특화 앱이다.

 

뒤이어 LG유플러스가 AI 스타트업 확보전에 뛰어들었다. 다만, 앞서 두 통신사에 비해서는 다소 소극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는 모양새다. AI 인프라에 막대한 투자를 쏟아붓는 것 보다 내부 기술력이 중요하다는 입장에서다.

 

LG유플러스는 지난 7일 언어 AI 전문 스타트업 '포티투마루'에 100억원 규모의 지분투자를 단행했다. 포티투마루는 AI 기반 '딥 시맨틱 질의응답' 솔루션을 보유한 스타트업이다. 딥 시맨틱 질의응답은 정답 후보군을 여러 개 제시하는 기존의 AI 구동 방법이다. 사용자의 질의를 이해한 뒤 단 하나의 대답을 도출해낸다. 포티투마루의 솔루션은 각 기업별 도메인 특화가 가능해 AI 허위정보를 최소화한다. 이에 AI 솔루션 대비 비용 효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양사는 AI 솔루션의 고도화를 위해 거대 언어 모델과 AI 관련 기술에 대한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